목차
목차
1. 다문화의 배경
2. 다문화주의 이론
3. 다문화주의 프로그램의 정책과 교육
4. 다문화주의에 입각한 프로그램의 활동영역
5. 다문화사회와 관련된 국가
참고문헌
1. 다문화의 배경
2. 다문화주의 이론
3. 다문화주의 프로그램의 정책과 교육
4. 다문화주의에 입각한 프로그램의 활동영역
5. 다문화사회와 관련된 국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육적으로 존중할 수 있거나 관용할 수 있는 것의 한계에 대한 질문은 문화적 종교적 전통에 대항하여 타당성을 주장할 수 있는 원척에 호소하지 않고는 답할 수 없다(Scherr, 2005, 17; Hormel/Scherr, 2004).
다문화주의는 '용광로(melting pot)’로 상징되는 동화주의를 넘어서서 현대의 이주사회를 위한 대안적인 통합 및 질서유지의 모형을 이론적으로 성찰하고 정치적 실천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시도에서 등장하였다. 다문화주의의 근본적인사안은 인종 민족 문화 종교와 측면에서 다원적인 사회가 일반적으로 승인된 가치체계가 없는 상태에서 어떻게 하면 공동생활을 평화롭게 구성할 것인가의 질문과 관련되어 있다. 여기서 평화로운 공동생활과 연결되어 있는 사항은 각 문화에게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고 서로 다른 문화를 상호 인정하는 데 놓여 있다.
원칙적인 수준에서 바라볼 때, 다문화주의는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와 근본적(급진적) 다문화주의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는 법적 정치적 사회적 차별의 철폐를 요구하며, 각 집단이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서 뒷받침을 한다. 그렇지만 동시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항을 강조한다. ① 사회가 제대로 기능을 수행하려면 어떤 공동의 정치문화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② 다문화주의는 개개인의 행복 혹은 안녕과 복지에 기여할 때 비로소 정당화할 수 있다. ③ 따라서 다문화주의는 시민권 혹은 인권의 보장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근본적(급진적) 다문화주의는 서로 다른 각각의 집단정체성이 실존적인 의미와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그래서 이 입장은 특정한 문화의 생존을 보장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공공적 정치적 공간에서 집단적 권리의 인정을 요구하고 또한 상당한 정도의 정치적 자치(자기결정)를 요구한다.
다문화주의에 입각한 정책의 기회와 위험은 특히 캐나다와 호주의 보기를 통해 알아볼 수 있다.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의 의미에서 그 두 나라 정부가 1970년대부터 수립한 프로그램은 사적인 영역과 공공적인 영역을 분리하는 데 지향을 두고 있다. 차별철폐조치와 관련된 법률과 개인적인 기회균등의 진흥이 중요한 정책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다문화주의 정책은 원래 정주하고 있던 일부 주민과 이주해 들어온 일부 주민 사이에서 희소자원의 배분을 둘러싼 투쟁으로 인하여 분리주의적 혹은 고립주의적 경향으로 나아가는 고유역학을 낳고 있다. 그리하여 모든 집단에게 타당하거나 구속력이 있는 최소한의 합의에 도달하는 일이 점점 더 어렵게 된다.
참고문헌
서덕희, 김옥선 외 저, 다문화사회와 교육, 교육과학사 2015
이형하, 박상희 외 저,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의 이해, 공동체 2015
오정미 저,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의 옛이야기와 문화교육, 한국문화사 2015
조원탁, 박순희 외 저,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실천, 양서원 2014
최영민, 이기영 외 저, 다문화사회복지론, 학지사 2015
다문화주의는 '용광로(melting pot)’로 상징되는 동화주의를 넘어서서 현대의 이주사회를 위한 대안적인 통합 및 질서유지의 모형을 이론적으로 성찰하고 정치적 실천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시도에서 등장하였다. 다문화주의의 근본적인사안은 인종 민족 문화 종교와 측면에서 다원적인 사회가 일반적으로 승인된 가치체계가 없는 상태에서 어떻게 하면 공동생활을 평화롭게 구성할 것인가의 질문과 관련되어 있다. 여기서 평화로운 공동생활과 연결되어 있는 사항은 각 문화에게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고 서로 다른 문화를 상호 인정하는 데 놓여 있다.
원칙적인 수준에서 바라볼 때, 다문화주의는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와 근본적(급진적) 다문화주의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는 법적 정치적 사회적 차별의 철폐를 요구하며, 각 집단이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서 뒷받침을 한다. 그렇지만 동시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항을 강조한다. ① 사회가 제대로 기능을 수행하려면 어떤 공동의 정치문화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② 다문화주의는 개개인의 행복 혹은 안녕과 복지에 기여할 때 비로소 정당화할 수 있다. ③ 따라서 다문화주의는 시민권 혹은 인권의 보장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근본적(급진적) 다문화주의는 서로 다른 각각의 집단정체성이 실존적인 의미와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그래서 이 입장은 특정한 문화의 생존을 보장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공공적 정치적 공간에서 집단적 권리의 인정을 요구하고 또한 상당한 정도의 정치적 자치(자기결정)를 요구한다.
다문화주의에 입각한 정책의 기회와 위험은 특히 캐나다와 호주의 보기를 통해 알아볼 수 있다.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의 의미에서 그 두 나라 정부가 1970년대부터 수립한 프로그램은 사적인 영역과 공공적인 영역을 분리하는 데 지향을 두고 있다. 차별철폐조치와 관련된 법률과 개인적인 기회균등의 진흥이 중요한 정책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다문화주의 정책은 원래 정주하고 있던 일부 주민과 이주해 들어온 일부 주민 사이에서 희소자원의 배분을 둘러싼 투쟁으로 인하여 분리주의적 혹은 고립주의적 경향으로 나아가는 고유역학을 낳고 있다. 그리하여 모든 집단에게 타당하거나 구속력이 있는 최소한의 합의에 도달하는 일이 점점 더 어렵게 된다.
참고문헌
서덕희, 김옥선 외 저, 다문화사회와 교육, 교육과학사 2015
이형하, 박상희 외 저,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의 이해, 공동체 2015
오정미 저,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의 옛이야기와 문화교육, 한국문화사 2015
조원탁, 박순희 외 저,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실천, 양서원 2014
최영민, 이기영 외 저, 다문화사회복지론, 학지사 2015
추천자료
반편견교육의 특징과 문제점
다문화주의
[프랑스][프랑스문화][프랑스의 문화]프랑스의 지리적 배경, 프랑스의 역사, 프랑스의 정부구...
[중국 사회주의교육][중국 수학교육][중국 공학교육][중국 환경교육][중국 교육정책]중국의 ...
프랑스의 다문화주의와 다문화정책
다문화가정 정의,등장배경,현상황,정책지원제도,문제점,정책대안제안(사회복지센터 인터뷰포함)
[지역사회교육론 - 4학년공통]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교육 부문에서 지역의 발전을 위해 ...
[프로그램평가] 다문화 가정의 아동을 위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 저소득 가정의 다문화 및...
아동 성폭력에 대해 생태학적 관점의 거시체계를 중심으로 현황과 영향, 사회적 배경과 원인(...
[한국방송통신대 유아교육과.자원봉사론.4학년.공통형]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 중 하...
[교육사회학] 콜먼의 연구를 조사하고 그와 관련된 교육정책을 조사하여 쓰시오 [교육정책]
사사회복지 프로그램) 결혼이민 다문화 여성의 직업교육 및 취업 지원 사업 “you light up m...
사회복지 프로그램)다문화 통합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의 건강한 성장 지원 프로그램
[아동문학교육]‘다문화’는 현재 사회에서 아동에게 더 넓은 시각을 제공하고 있는 주요 기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