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관련이론
3. 안전사항
4. 실시사항
2. 관련이론
3. 안전사항
4. 실시사항
본문내용
측정 될 수 있다.
정현파는 그림 4-3 에서와 같이 360°의 회전을 나타낸다. 즉 정현파 전압, 전류는 0에서 출발하여 최대값을 갖고 다시 0으로 감소하여 다시 반대 극성으로 최대값을 갖는다.
정현파에서 크기는 최대값 (peak value), 실효값 (rms value), 첨두간값 (peak to peak value)로 표시된다.
실효값은 역효과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정현파의 경우 최대값의 이 된다. 실효값은 저항에 AC전압, 전류와 동일한 열효과를 내는 DC전압, 전류의 값이다. 주파수는 정현파의 주기의 역수 이다. 즉 60Hz 전력 경우 주기는 =0.0167s이다.
그림 4-4에서 정현파형의 변수를 보여준다.
3. 안전사항
a) 감전사고에 주의한다.
b) 정확하게 회로를 보고 결선한다.
c) 회로 결선 후 다시 한번 검토한다.
d) 실험실습시 주위 사람과 장난하지 않는다.
e) 절대로 전원공급기를 모듈 뒷면의 입력전원선의 제거없이 콘솔로부터 제거
하지 말 것.
f)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절대로 결선하지 마시오.
4. 실시사항
1) 주 전원공급기, 저항모듈, 교류 전압계, 교류 전류계, V-I isolator를 배치한다.
2) 주 전원공급기 전원을 Off시키고 전압 조절기를 O으로 설정 확인 한다.
3) 그림 4-5와 같이 회로를 결선한다.
4) 전압계 선택 스위치는 4-N 위치에 놓고 전원을 On시키고 전압조절기를 100% 위치에 놓는다.
5) 전압과 전류값을 측정하고
E = 120V(실효값) I = 0.707A
6) 오실로스코프에 나타난 파형을 관찰한다.
= 180 , = 1
= 127, = 0.707
= 127, = 0.707
7) 5)의 측정값과 6)의 계산된 실효값을 비교한다. 값은 일치하는가?
비슷하다.
8) 전압파형의 주기를 오실로스코프 파형으로부터 관측한다.
T= 1/f = 60.6(ms)
9) 주파수를 계산한다.
f= 1/T = 16.5(Hz)
위상각
위상각은 같은 주파수를 갖는 두 정현파의 위상차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두 정현파는 크기는 달라도 되나 같은 주파수를 가져야 한다.
오실로스코프상에서 위상각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한 채널에 기준 파형을 놓고 다른 채널에 위상차를 측정하려는 파형을 놓은 후 그 차이를 눈금으로 계산하면 된다.
그림 4-6에서 예를 보면 기준파형의 한 주기는 360°이므로 한 눈금은 이다.
두 파형의 차이는 눈금이므로 위상차는 가 된다.
실시사항
10) 전원 공급기, 저항 모듈, 인덕턴스 모듈, V-I isolator를 배치한다.
11) 전원을 off 키시고 전압 조절기를 0%로 한다.
12) 그림 4-7과 같이 회로를 결선하고 전원을 on 시키고 주어진 전압값을 인가한다.
13) V-I isolator 출력을 오실로스코프에 연결하고 파형을 관측한다. 전압과 전류 파형의 위상차가 있는가? 있다.
14) 위상차가 있다면 몇 도 인가?
360*(2/16.67)=43.19도
15) 전류는 전압보다 지상인가? 진상인가?
전압이 전류보다 진상이다.
전류는 전압보다 지상이다.
정현파는 그림 4-3 에서와 같이 360°의 회전을 나타낸다. 즉 정현파 전압, 전류는 0에서 출발하여 최대값을 갖고 다시 0으로 감소하여 다시 반대 극성으로 최대값을 갖는다.
정현파에서 크기는 최대값 (peak value), 실효값 (rms value), 첨두간값 (peak to peak value)로 표시된다.
실효값은 역효과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정현파의 경우 최대값의 이 된다. 실효값은 저항에 AC전압, 전류와 동일한 열효과를 내는 DC전압, 전류의 값이다. 주파수는 정현파의 주기의 역수 이다. 즉 60Hz 전력 경우 주기는 =0.0167s이다.
그림 4-4에서 정현파형의 변수를 보여준다.
3. 안전사항
a) 감전사고에 주의한다.
b) 정확하게 회로를 보고 결선한다.
c) 회로 결선 후 다시 한번 검토한다.
d) 실험실습시 주위 사람과 장난하지 않는다.
e) 절대로 전원공급기를 모듈 뒷면의 입력전원선의 제거없이 콘솔로부터 제거
하지 말 것.
f)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절대로 결선하지 마시오.
4. 실시사항
1) 주 전원공급기, 저항모듈, 교류 전압계, 교류 전류계, V-I isolator를 배치한다.
2) 주 전원공급기 전원을 Off시키고 전압 조절기를 O으로 설정 확인 한다.
3) 그림 4-5와 같이 회로를 결선한다.
4) 전압계 선택 스위치는 4-N 위치에 놓고 전원을 On시키고 전압조절기를 100% 위치에 놓는다.
5) 전압과 전류값을 측정하고
E = 120V(실효값) I = 0.707A
6) 오실로스코프에 나타난 파형을 관찰한다.
= 180 , = 1
= 127, = 0.707
= 127, = 0.707
7) 5)의 측정값과 6)의 계산된 실효값을 비교한다. 값은 일치하는가?
비슷하다.
8) 전압파형의 주기를 오실로스코프 파형으로부터 관측한다.
T= 1/f = 60.6(ms)
9) 주파수를 계산한다.
f= 1/T = 16.5(Hz)
위상각
위상각은 같은 주파수를 갖는 두 정현파의 위상차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두 정현파는 크기는 달라도 되나 같은 주파수를 가져야 한다.
오실로스코프상에서 위상각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한 채널에 기준 파형을 놓고 다른 채널에 위상차를 측정하려는 파형을 놓은 후 그 차이를 눈금으로 계산하면 된다.
그림 4-6에서 예를 보면 기준파형의 한 주기는 360°이므로 한 눈금은 이다.
두 파형의 차이는 눈금이므로 위상차는 가 된다.
실시사항
10) 전원 공급기, 저항 모듈, 인덕턴스 모듈, V-I isolator를 배치한다.
11) 전원을 off 키시고 전압 조절기를 0%로 한다.
12) 그림 4-7과 같이 회로를 결선하고 전원을 on 시키고 주어진 전압값을 인가한다.
13) V-I isolator 출력을 오실로스코프에 연결하고 파형을 관측한다. 전압과 전류 파형의 위상차가 있는가? 있다.
14) 위상차가 있다면 몇 도 인가?
360*(2/16.67)=43.19도
15) 전류는 전압보다 지상인가? 진상인가?
전압이 전류보다 진상이다.
전류는 전압보다 지상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실험 14. RLC 회로의 스텝 응답
전기 회로 실험요약자료
반도체 집적회로 공정
RC, RL 미적분 회로 결과레포트(예비포함) [청문각]
전기 회로 이론
[전력 정의][전력 중요성][전력산업 발전과정][전력산업 구조][전력산업 현황][전력산업 미래...
수배관계통
[항만][항만의 의의][항만의 부두시설][항만의 전력설비][항만의 민간투자][항만의 오염][항...
전력공학
전력변환자료
[산업구조, 기술지식집약적, 지역, 전력, 관광, 미디어]기술지식집약적 산업구조, 지역산업구...
지적재산권 보호의 이념적 기초
변압계의 원리와 개념 그리고 실생활 예를 서술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