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특정공포증의 사례와 임상적 특징
1) 특정공포증의 사례
2) 특정공포증의 개념과 증상
3) 특정공포증의 진단기준(DSM-IV)
4) 공포증의 대상이나 상황의 종류
2. 특정공포증의 원인과 치료
1) 생리·인지·행동주의적 관점
2) 정신분석적 관점
3) 특정공포증의 치료
참고문헌
1. 특정공포증의 사례와 임상적 특징
1) 특정공포증의 사례
2) 특정공포증의 개념과 증상
3) 특정공포증의 진단기준(DSM-IV)
4) 공포증의 대상이나 상황의 종류
2. 특정공포증의 원인과 치료
1) 생리·인지·행동주의적 관점
2) 정신분석적 관점
3) 특정공포증의 치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런 문화 사회적 변인은 공포증이 보고되는 사례 수에도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사회에서는 남자가 공포감을 표현하는 것을 적절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특정공포증 환자의 절대적 대다수는 여자로 보고되고 있는데, 사실 남자들은 스스로 공포상황에 자꾸 맞닥뜨리면서 공포를 극복하려고 노력하거나, 자신의 공포증을 다른 사람에게 말하거나, 치료를 구하지 않은 채 그냥 견디며 살아가는 것으로 보인다.
2) 정신분석적 관점
앞서도 언급되었듯이 정신분석 이론에 따르면 불안의 주기능은 금지된 성적, 공격적 충동이 의식으로 표출되려 한다는 것을 자아에게 신호해 주며, 자아가 이에 대한 방어를 구축 강화하게 하는 것이라고 한다. 만약 억압을 통해 방어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면 자아는 다른 방어수단을 사용하려고 한다. 공포증 환자의 경우 주로 치환, 투사, 회피의 방어기제를 통해 불안통제 시도가 일어난다. 공포증을 가진 사람들은 성적, 공격적 갈등을 그 갈등을 일으킨 사람에서 외견상 중요하지 않고 관련성이 없는 대상 혹은 상황으로 치환시킨다. 그러고 나면 이 대상 혹은 상황이 불안을 일으키는 힘을 갖게 되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말에 대한 공포증을 지니고 있었던 다섯 살짜리 한스(Me Hans)의 사례를 통해서 이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였다. 한스가 아버지에 대해서 느끼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적 공포가 아버지의 특징을 상징적으로 지니는 것으로 느껴진 말에 투사되었고, 그 결과 말에 대해서 공포증을 느끼게 되었다고 프로이트는 설명하고 있다.
3) 특정공포증의 치료
특정공포증의 치료는 광장공포증의 치료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절차를 따른다. 즉, 실제 공포자극과 점차적으로 가까워지는 노출상황들을 구성하여 환자를 대면시키는 노출기법이 사용된다. 이때 불안을 처리할 수 있도록 이완, 호흡 훈련, 인지적 재구성 등을 함께 환자에게 교육시킨다. 이런 체계적 둔감화와 노출 치료가 특정공포증의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환자가 공포자극에 점차적으로 자신을 노출시킬 때, 이런 연습은 대부분의 경우 치료적 감독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혼자서 이런 연습을 하게 되는 경우 환자는 종종 너무 빨리 많은 것을 이루려다가 결국 공포상황을 회피하게 되고, 공포증은 더욱 강화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점진적 노출 치료 외에도, 강한 공포자극에 단번에 직면시키고 그 상황이 위험하지 않다는 것을 충분히 느낄 수 있을 만큼 머물게 하는 '홍수법(flooding)’, 다른 사람이 공포자극을 불안 없이 잘 대하는 것을 관찰하고 이를 따라해 봄으로써 점진적으로 극복해 나가는 '모델링을 통한 참여적 관찰학습’ 도 사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권석만 저, 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 2013
김청송 저,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2015
김명희 저, 아동 청소년 이상심리와 상담, 교문사 2013
천성문, 김진숙 외 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개념 및 사례, CengageLearning 2013
윤순임 저,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2011
2) 정신분석적 관점
앞서도 언급되었듯이 정신분석 이론에 따르면 불안의 주기능은 금지된 성적, 공격적 충동이 의식으로 표출되려 한다는 것을 자아에게 신호해 주며, 자아가 이에 대한 방어를 구축 강화하게 하는 것이라고 한다. 만약 억압을 통해 방어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면 자아는 다른 방어수단을 사용하려고 한다. 공포증 환자의 경우 주로 치환, 투사, 회피의 방어기제를 통해 불안통제 시도가 일어난다. 공포증을 가진 사람들은 성적, 공격적 갈등을 그 갈등을 일으킨 사람에서 외견상 중요하지 않고 관련성이 없는 대상 혹은 상황으로 치환시킨다. 그러고 나면 이 대상 혹은 상황이 불안을 일으키는 힘을 갖게 되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말에 대한 공포증을 지니고 있었던 다섯 살짜리 한스(Me Hans)의 사례를 통해서 이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였다. 한스가 아버지에 대해서 느끼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적 공포가 아버지의 특징을 상징적으로 지니는 것으로 느껴진 말에 투사되었고, 그 결과 말에 대해서 공포증을 느끼게 되었다고 프로이트는 설명하고 있다.
3) 특정공포증의 치료
특정공포증의 치료는 광장공포증의 치료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절차를 따른다. 즉, 실제 공포자극과 점차적으로 가까워지는 노출상황들을 구성하여 환자를 대면시키는 노출기법이 사용된다. 이때 불안을 처리할 수 있도록 이완, 호흡 훈련, 인지적 재구성 등을 함께 환자에게 교육시킨다. 이런 체계적 둔감화와 노출 치료가 특정공포증의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환자가 공포자극에 점차적으로 자신을 노출시킬 때, 이런 연습은 대부분의 경우 치료적 감독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혼자서 이런 연습을 하게 되는 경우 환자는 종종 너무 빨리 많은 것을 이루려다가 결국 공포상황을 회피하게 되고, 공포증은 더욱 강화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점진적 노출 치료 외에도, 강한 공포자극에 단번에 직면시키고 그 상황이 위험하지 않다는 것을 충분히 느낄 수 있을 만큼 머물게 하는 '홍수법(flooding)’, 다른 사람이 공포자극을 불안 없이 잘 대하는 것을 관찰하고 이를 따라해 봄으로써 점진적으로 극복해 나가는 '모델링을 통한 참여적 관찰학습’ 도 사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권석만 저, 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 2013
김청송 저,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2015
김명희 저, 아동 청소년 이상심리와 상담, 교문사 2013
천성문, 김진숙 외 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개념 및 사례, CengageLearning 2013
윤순임 저,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2011
추천자료
고혈압의 정의, 형태, 진단, 증상, 합병증
품행장애 - 발달장애 심리학
사회공포증의 사례 및 분석
학령기 학습장애 아동의 진단 및 치료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아동행동연구) 이상행동(반응성애착장애, 분리불안장애 등)과 발달 보고서
아동의 정서발달(불안과 공포증, 주의력 결핍 ADHD) 프로그램 및 사례 보고서
공포증에 대한 연구
정신건강의 개념과 기준
현대인의 불안과 스트레스 (불안장애, 사회공포증, 공황장애, 강박장애, 위기상황 스트레스)....
[아동복지론] 아동의 이상 행동 -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에 대해서
[정신장애]정신장애와 DSM-4(진단 및 통계편람), 정신장애와 약물중독, 정신장애와 건강교육,...
자신이 관심 있는 정신병리 또는 이상행동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그 행동의 증상과 원인을 ...
아동기 발달장애(아동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기 우울증, 학교공포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