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의 정의, 형태, 진단, 증상, 합병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혈압의 정의, 형태, 진단, 증상, 합병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의

2. 질병의 형태
-2차성 고혈압
① 신장성
② 신혈관성(신장 동맥 협착에 의한다)
③ 부신성
④ 혈관성
⑤ 그 외

3. 진단
-고혈압 진단-
-원인 및 감별진단-
․이차성 고혈압 확정 진단

4. 증상
-고혈압성 응급증-
① 고혈압성 뇌증
② 급성 좌심부전
③ 뇌내 출혈
④ 해리성 대동맥류


5. 합병증
① 심장
-관상동맥 질환-

-협심증-
a. 안정형 협심증
b. 불안정성 협심증
c. 이형 협심증
d. 미세혈관성 협심증

-심근 경색-
a.급성심근경색
b.진구성 심근경색

-좌심부전-
-돌연사-

② 뇌
-고혈압성 뇌증-
-일과성 뇌허혈 발작-
-뇌경색-
-동맥류 파열-

③ 신장
-신부전-

④ 혈관
-박리성 대동맥류-
-죽상 경화증-

⑤ 안저
-안저 출혈-
-유두 부종-

본문내용

만성 신부전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일단 만성 신부전 상태가 되면 신장 이식수술을 받거나 투석요법을 받지 않으면 환자의 생명을 유지 할 수 없으므로 환자에게 신체적 인 부담을 줄 뿐 아니라 정신적, 시간적,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주게 된다. 현재 사구체 신염을 앓고 있는 환자나 당뇨, 고혈압 등의 환자는 후일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고 만성 신부전이 되 면 신기능을 돌이킬 수 없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를 통해 신부전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④ 혈관
-박리성 대동맥류-
대동맥벽의 일부가 찢어져서 생긴 병으로 갑자기 쇼크에 빠지거나 사망할 수 있는 응급 질환으로, 평소 심한 고혈압이 있던 사람에게서 갑자기 심한 흉통과 함께 통증이 등으로 뻗치는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죽상 경화증-
죽상 경화증은 동맥의 안쪽에 콜레스테롤이 침착되는 형으로 뇌, 심장, 대동맥, 목과 다리의 동맥에서 일어나기 쉽다. 죽상 경화증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혈액 중에 지방질이 많은 상태, 즉 고지혈증이다. 고지혈증이 있거나 혈압이 높으면 재발이 혈관 벽에 스며들어 침착하므로 동맥경화를 일으키기 쉽다. 이렇게 혈관 안쪽에 지방질이 붙게 되면 혈관이 두터워지고 탄력성을 잃어버리게 되며 주위의 조직이 붕괴되고 콜레스테롤 등 지방질이 석출되거나 궤양이 일어난다. 또 이 부위는 혈액이 응고된 혈전을 형성하기 좋은 환경적 여건을 만들어 주어, 혈전이 혈관을 갑자기 막아 버리기도 한다. 이것이 뇌에서 일어나면 뇌경색, 관상동맥에서 일어나면 심근 경색으로 죽음을 부르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⑤ 안저
-안저 출혈-
안저출혈(眼底出血)이란 망막에 출혈하는 경우와 결막 밑에 출혈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대개 망막 출혈이다. 이것은 외상에 의한 출혈을 제외하고는 동맥경화, 만성신염, 백일해, 출혈성소인, 악성빈혈, 백혈병, 젊은 사람으로서는 결핵, 중년은 매독, 노년은 고혈압 등이 원인이다. 안저출혈도 가벼운 것이라면 일부의 시력장애나 시야의 협소 정도이나, 강도의 경우라면 실명되는 일도 있다.
-유두 부종-
뇌압이 증가하면 시력에 변화가 올 수 있다. 시신경은 뇌에서 직접 말초신경이 나온 '뇌신경'중 하나인데 이 시신경은 뇌에서 혈관이 나와 영양은 공급하게 된다. 뇌의 압력이 올라가면 이 시신경에서 뇌로 들어가는 정맥의 혈류가 원활하지 못해 시신경이 붓게 된다. 이를 유두부종이라고 하는데 안저검사를 하면 알 수 있다.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3.19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4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