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세학과 그 영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세학과 그 영향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경세학 등장의 배경
Ⅱ. 경세학의 등장과 발달
Ⅲ. 경세학의 영향

참고서적

본문내용

旗) 사람이었다. 그의 증조부부터 부친 항렬의 3대는 세습적인 강녕직조(江寧織造, 재부(財賦)를 관리하는 요직) 직을 맡아 13세까지는 호화롭게 살았으나 청 황실 내부의 싸움이 격렬할 때 부친이 죄에 연루되어 파직 당하였고 가산을 몰수당했다. 이로 인해 그는 자기의 본래 계급에 대한 미련을 가지고 있었고 그의 세계관은 허무적이고 비관적이 되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귀족 가문의 흥성부터 쇠망에 이르는 거대한 변화와 그가 겪은 빈곤한 생활은 자기 본래의 계급의 추악한 면에 대하여 심각한 인식을 가져올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홍루몽 창작에 풍부한 생활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홍루몽은 가보옥(賈寶玉), 임대옥(林黛玉), 설보채(薛寶釵) 사이의 연애와 혼인의 비극을 중심으로 당시 시대의 대표성을 갖고 있는 가(賈), 왕(王), 사(史), 설(薛)씨의 4대 가족의 흥망을 씀으로써 봉건 사회가 필연적으로 멸망해가는 역사적 추세를 반영하였다. 홍루몽 창작에는 사실주의적 원칙을 실현하였으며 그로써 홍루몽을 사상성과 예술성에서 중국 고전 사실주의 문학의 최고봉에 오른 걸작이 되게 하였다. 또한 일상생활에 대한 세밀하고 생생한 묘사로 이야기를 엮어나가고 인물의 형상을 부각한 것은 홍루몽의 주요한 특색의 하나이다. 홍루몽은 인물의 심리 묘사를 진행하고 인물을 특정된 환경이나 분위기 속에 놓음으로써 그 인물의 심리세계를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하는 면에서 현저한 성과를 거두었다. 홍루몽은 때때로 인물의 심리를 심각하고 세밀하게 묘사함으로써 기타 고전 소설들이 거두지 못한 높은 성과를 거두었다. 홍루몽의 구성은 웅대하면서도 엄밀하고 완전하여 인물이 400명에 달하고 사건이 복잡하지만 결코 작품의 전체적인 사상에서 이탈되지 않았다. 홍루몽은 사실주의 문학의 높은 성과로서 그 후의 문학에 풍부한 예술적 경험을 제공했으며 큰 영향을 남겼다.
3. 우리나라에 끼친 영향 - 실학사상
실학 實學
조선 후기 이학(理學;성리학)과 예학(禮學)으로 대표된 당시의 전통유학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한 유학의 한 분파. 조선 후기에 들어와 선각적으로 일어난 근대의식과 민족적 자각을 배경으로 하여, 당시 형이상학적 공리공론에 치우쳐 있던 성리학에 대한 반동으로 실사구시(實事求是)와 이용후생(利用厚生)을 표방하며, 실생활의 이익을 목표로 정치, 경제, 언어, 지리, 천문, 금석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연구를 이룩하였다.
실학은 그 주장하는 내용과 시대에 따라 이익(李瀷)을 대종(大宗)으로 하는 경세치용파(經世治用派) 로서 토지제도 및 행정기구 등 제도상의 개혁을 주장하는 학파, 박지원(朴趾源)을 중심으로 하는 이용 후생파로서 상공업의 유통, 생산 기구 등 기술면의 혁신을 지표로 하는 학파, 김정희(金正喜)에 이르러 형성된 실사구시파로 경서 및 금석(金石) 전고(典故)의 고증을 위주로 하는 학파로 대별할 수 있다.
이러한 실학사상은 19세기 초반 정약용(丁若鏞)에 의해 집대성되었다. 실학은 주자학의 전통적인 권위에서 벗어나 현실사회의 모순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개혁론을 주장하여, 폭넓은 학문적 관심과 함께 선진문물을 적극 수용하고자 하였다. 실사구시 實事求是는 사실에 기초하여 진리를 탐구하는 중국 청(淸)나라 고증학(考證學)의 학문 방법론으로 청의 경세학자 황종희(黃宗羲)고염무(顧炎武) 등에 의한 전개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주자학 경전 해석의 극복 등을 통해 사회적 모순을 해결하고자 한 실학파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정약용(丁若鏞)은 주자학의 체계를 극복하는 길을 공자의 정신을 회복하는 데에서 찾고 그 방법으로 철저한 고증과 실증적인 태도가 중요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실학파의 요구들은 당시의 현실에 받아들여지기 어려워 실학파 가운데 경세치용파는 거세되고 실사구시의 학문만 추구되었다. 대표적인 인물로 김정희(金正喜)를 들 수 있는데, 그는 학문 그 자체에 목적을 두고 엄격한 객관적 태도로 사실을 밝혀냈으며, 이후 이 사상은 개화파에게 영향을 주면서 이어졌다.
참고서적
패트리샤 버클리 애브리 저『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캠브리지 중국사』시공사, 2001.
황종희『명이대방록』한길사, 2000.
오재환『중국사상사』신서원, 1999.
주칠성『실학파의 철학 사상』 예문서원, 1996.
허세욱『中國近代文學史』 法文社, 1996.
김영덕 외, 『중국 문학사(하)』 청년사 , 1990.
서울대학교 동양사학연구실 편『강좌중국사Ⅳ』지식산업사, 1989.
황원구 「실학사의(實學私議)」『문학과 지성』 20호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6.01.28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36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