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안파 이전의 명대 문학사조
2. 공안파의 등장배경
3. 공안파(公安派)
4. 공안파의 문학 이론
6. 의의
※참고문헌
2. 공안파의 등장배경
3. 공안파(公安派)
4. 공안파의 문학 이론
6. 의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 성령(性靈)을 나타낸다.
옛 격률(格率)을 준수하면서 모방하는 것은 사상이 자기의 심중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독창적인 정신과 뚜렷한 개성이 결핍되어 결국은 아무런 존재 가치도 없는 잘품이 되고 마는 것이라 하였다. 성령(性靈)이란 자신의 사상, 감정이나 개성을 아울러 일컬은 말이다. 성령(性靈)을 나타낸다는 것은 곧 문학에서 개인의 감정을 나타낸다는 말로 뜻(志)을 말하고 개성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대개 홀로 “성령”을 펴내며 격식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다. 자기의 가슴속으로부터 흘러나온 것이 아니면 붓을 대려하지도 않았다.」 - 《袁中郞全集》 文 《敍小修詩》
(4) 소설이나 희곡의 문학적인 가치를 중시하였다.
중국은 자고로 소설을 경시하는 풍조가 있었고 소설희곡이 점점 흥기하던 송원 시대에 이르러서도 이와 같은 관념은 가셔지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이지(李贄), 원굉도(袁宏道)에 이르러서는 그와 같은 불합리한 관념이 과감하게 타파되고, 따라서 소설희곡 등에 새로운 문학적 가치를 인정하게 되었다.
「사에는 유영신기질 등이 있고 희곡에는 동해원왕실보마치원고명 등이 있으며, 소설에는 《수호전》《금병매》 등 뛰어난 작품이 있다.」 - 《袁中郞全集》 隨筆 《觴政》
(5) 민간의 가곡도 중시하였다.
「내 생각으로는 지금의 시문은 전해지지 않을 것이다. 그 중 만에 하나 전해지는 게 있다면 아마도 민간의 부녀자들이 부르는 《별파옥》《타초간》같은 종류일 것이다. 그것은 들은 것도 없고 아는 것도 없는 진인(眞人)이 진은 것이기 때문에 진성(眞聲)이 많은 것이다. 」 - 《袁中郞全集》 文 《敍小修詩》
곧 시는 “진성(眞聲)”이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공안파의 이론은 낭만적 정신과 혁명적 태도로, 전통적인 숭고(崇古) 사상을 배격하고 개성과 자유 그리고 내용과 감정을 중시하는 풍조를 일으켜서 문단을 지배했다.
6. 의의
전후칠자들의 복고주의에 대한 반대 운동은 이지로부터 공안파 그리고 경릉파 등으로 이어지면서 일시적으로나마 대단한 풍미를 누렸다. 그렇지만 너무 형식주의로 흘렀을 뿐만 아니라 너무 진보적이고 과격한 경향을 띠었기 때문에 그들의 저술은 모조리 금서(禁書)로 묶이고 또 저자들이 죄인으로 몰려 구속되는 불운을 겪었다. 그리고 이런 운동이 실제 작품으로 충분히 뒷받침되지 못했기 때문에, 결국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하였다. 그렇지만 그 결과 전후칠자의 모방 풍조를 일소시키는 데 성공하였고, 권위에 굴복하지 않는 그들의 자유로운 발상이나 전통을 뛰어넘는 참신한 착상 그리고 개성을 존중하는 창조성 등이 모두 그 당시 사람들에게 일종의 해방감 같은 것을 불어넣어 주기에 충분하였다. 뿐만 아니라 만명(晩明) 공안파의 이런 풍조는 명말 풍몽룡(馮夢龍)김성탄(金聖歎) 등에 영향을 미쳐 속문학을 연구하고 평가하는 기풍을 크게 일게 하기도 했다.
※참고문헌
중국문학사/신아사/김학주
중국문학사/대한교과서/이수웅, 김경일
중국문학사 下/청년사/김영덕 외
중국문학사/學硏社/정범진
중국문학개설/경남대학교 출판부/이철리, 김정욱
옛 격률(格率)을 준수하면서 모방하는 것은 사상이 자기의 심중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독창적인 정신과 뚜렷한 개성이 결핍되어 결국은 아무런 존재 가치도 없는 잘품이 되고 마는 것이라 하였다. 성령(性靈)이란 자신의 사상, 감정이나 개성을 아울러 일컬은 말이다. 성령(性靈)을 나타낸다는 것은 곧 문학에서 개인의 감정을 나타낸다는 말로 뜻(志)을 말하고 개성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대개 홀로 “성령”을 펴내며 격식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다. 자기의 가슴속으로부터 흘러나온 것이 아니면 붓을 대려하지도 않았다.」 - 《袁中郞全集》 文 《敍小修詩》
(4) 소설이나 희곡의 문학적인 가치를 중시하였다.
중국은 자고로 소설을 경시하는 풍조가 있었고 소설희곡이 점점 흥기하던 송원 시대에 이르러서도 이와 같은 관념은 가셔지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이지(李贄), 원굉도(袁宏道)에 이르러서는 그와 같은 불합리한 관념이 과감하게 타파되고, 따라서 소설희곡 등에 새로운 문학적 가치를 인정하게 되었다.
「사에는 유영신기질 등이 있고 희곡에는 동해원왕실보마치원고명 등이 있으며, 소설에는 《수호전》《금병매》 등 뛰어난 작품이 있다.」 - 《袁中郞全集》 隨筆 《觴政》
(5) 민간의 가곡도 중시하였다.
「내 생각으로는 지금의 시문은 전해지지 않을 것이다. 그 중 만에 하나 전해지는 게 있다면 아마도 민간의 부녀자들이 부르는 《별파옥》《타초간》같은 종류일 것이다. 그것은 들은 것도 없고 아는 것도 없는 진인(眞人)이 진은 것이기 때문에 진성(眞聲)이 많은 것이다. 」 - 《袁中郞全集》 文 《敍小修詩》
곧 시는 “진성(眞聲)”이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공안파의 이론은 낭만적 정신과 혁명적 태도로, 전통적인 숭고(崇古) 사상을 배격하고 개성과 자유 그리고 내용과 감정을 중시하는 풍조를 일으켜서 문단을 지배했다.
6. 의의
전후칠자들의 복고주의에 대한 반대 운동은 이지로부터 공안파 그리고 경릉파 등으로 이어지면서 일시적으로나마 대단한 풍미를 누렸다. 그렇지만 너무 형식주의로 흘렀을 뿐만 아니라 너무 진보적이고 과격한 경향을 띠었기 때문에 그들의 저술은 모조리 금서(禁書)로 묶이고 또 저자들이 죄인으로 몰려 구속되는 불운을 겪었다. 그리고 이런 운동이 실제 작품으로 충분히 뒷받침되지 못했기 때문에, 결국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하였다. 그렇지만 그 결과 전후칠자의 모방 풍조를 일소시키는 데 성공하였고, 권위에 굴복하지 않는 그들의 자유로운 발상이나 전통을 뛰어넘는 참신한 착상 그리고 개성을 존중하는 창조성 등이 모두 그 당시 사람들에게 일종의 해방감 같은 것을 불어넣어 주기에 충분하였다. 뿐만 아니라 만명(晩明) 공안파의 이런 풍조는 명말 풍몽룡(馮夢龍)김성탄(金聖歎) 등에 영향을 미쳐 속문학을 연구하고 평가하는 기풍을 크게 일게 하기도 했다.
※참고문헌
중국문학사/신아사/김학주
중국문학사/대한교과서/이수웅, 김경일
중국문학사 下/청년사/김영덕 외
중국문학사/學硏社/정범진
중국문학개설/경남대학교 출판부/이철리, 김정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