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ECG의 정의
2.ECG의 종류
3.실제의 심전도 읽기
4.환자의 심전도 읽기
4.pulse dximetry 적용
2.ECG의 종류
3.실제의 심전도 읽기
4.환자의 심전도 읽기
4.pulse dximetry 적용
본문내용
료까지의 시간
(3)ST부분 : S파의 종말부에서 T파의 기시부까지의 부분으로 심근 상태에 관해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부분
-심근 허혈시 ST분절 하강, 심근경색 시 ST분절 상승
4.환자의 심전도 읽기
(1)심방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중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ib
-가장빠른 리듬을 보이는 심방부정맥, 흔한부정맥
-심방이 350-600회/min으로 무질서하게 탈분극
-p파 없고 불규칙한 파상형태
-맥박결손 : 심첨맥박보다 말초에서 측정한 맥박수가 적음
(2)전도장애 종류중 1,2,3도 방실차단
①1도 방실차단(first degree AV block)
-방실결정에서의 전도장애로 심방과 심실의 전도시간 지연
-AV node의 전도지연으로 PR간격이 0.2초 이상(심박동수와 리듬은정상)
-관련질환: 관상동맥질환, digitalis중독
-단독으로 나타났을 경우 중재하지 않아도 무방
②2도 방실차단
-심방에서 전기자극이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심실전달하는 것으로 QRS군 가끔탈락
③3도 방실차단
-완전한 심장블록으로 심방과 심실이 따로 수축
-P파와 QRS군 사이의 일정한 관계가 없고 RR간격이 PP간격보다 길다
-즉시 무의식 혹은 사망
(3)심실장애
①심실성 빈맥(Ventricular tachycardia,VT)
-P파는 QRS군에 묻혀 보이지 않고 QRS군은 0.12초 이상, 넓고 이상한 모양
-4개이상의 조기 심실수축이 계속출현
-심실수축 100-250회/min
-심실세동으로 발전할 수 있음
②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VF)
-매우빠른 자극발생과 수축으로 인해 심실이 무질서하게 경련
-ECG상 정확한 파의 구분이 어려움
-심실의 여러장소에서 전기적 흥분이 일어나나 단순한 기계적 떨림이므로 심박출량이 없다
4.pulse dximetry 적용
가.정의 : 적외선을 조직에 통과시켜 산화헤모글로빈이 흡수한 적외선을 측정하여 헤모글로빈의 산소포화도를 나타냄
->전채 헤모글로빈에 대한 산화된 헤모글로빈의 양
동맥혈 산소포화상태를 측정하는 비침습적 방법
SP02로 표시되며 의식이 저하되어 조직의 저산소증을 알수 없는 집중치료실이나 수술실에서 주로 사용
SP02
PaO2
의미
50%
25mmHg
생명이 위험한 저산소혈증
75%
40mmHg
중증도 저산소혈증
90%
55mmHg
경한 저산소혈증
나. 검사과정
환자의 귓불, 이개,손가락 끝 등 탐침을 부착할 부분을 혈류가 증가하도록 문질러줌
측정부위에 센서부착(센서는 따듯하여 조직의 혈류를 증가시킴)
빛이 조직을 통해 지나가고 센서는 조직에 흡수된 빛의 양을 측정
다.주의사항
-센서부착부위를 움직이면 적외선 흡수가 변하여 정밀하게 측정할수 없으므로 움직임이 없도록 한다
-혈압측정을 위한 커프,압박붕대, 동맥 내 장치, 카테터 삽입 부위 아래는 센서를 부착하지 않는다( 정상적으로 측정되지 않으므로)
-맥박 산소계측만으로는 환기상태와 산-염기 균형 상태를 알 수 없으므로 Sp02와 함께 활력징후 및 동맥혈 가스분석을 주기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3)ST부분 : S파의 종말부에서 T파의 기시부까지의 부분으로 심근 상태에 관해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부분
-심근 허혈시 ST분절 하강, 심근경색 시 ST분절 상승
4.환자의 심전도 읽기
(1)심방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중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ib
-가장빠른 리듬을 보이는 심방부정맥, 흔한부정맥
-심방이 350-600회/min으로 무질서하게 탈분극
-p파 없고 불규칙한 파상형태
-맥박결손 : 심첨맥박보다 말초에서 측정한 맥박수가 적음
(2)전도장애 종류중 1,2,3도 방실차단
①1도 방실차단(first degree AV block)
-방실결정에서의 전도장애로 심방과 심실의 전도시간 지연
-AV node의 전도지연으로 PR간격이 0.2초 이상(심박동수와 리듬은정상)
-관련질환: 관상동맥질환, digitalis중독
-단독으로 나타났을 경우 중재하지 않아도 무방
②2도 방실차단
-심방에서 전기자극이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심실전달하는 것으로 QRS군 가끔탈락
③3도 방실차단
-완전한 심장블록으로 심방과 심실이 따로 수축
-P파와 QRS군 사이의 일정한 관계가 없고 RR간격이 PP간격보다 길다
-즉시 무의식 혹은 사망
(3)심실장애
①심실성 빈맥(Ventricular tachycardia,VT)
-P파는 QRS군에 묻혀 보이지 않고 QRS군은 0.12초 이상, 넓고 이상한 모양
-4개이상의 조기 심실수축이 계속출현
-심실수축 100-250회/min
-심실세동으로 발전할 수 있음
②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VF)
-매우빠른 자극발생과 수축으로 인해 심실이 무질서하게 경련
-ECG상 정확한 파의 구분이 어려움
-심실의 여러장소에서 전기적 흥분이 일어나나 단순한 기계적 떨림이므로 심박출량이 없다
4.pulse dximetry 적용
가.정의 : 적외선을 조직에 통과시켜 산화헤모글로빈이 흡수한 적외선을 측정하여 헤모글로빈의 산소포화도를 나타냄
->전채 헤모글로빈에 대한 산화된 헤모글로빈의 양
동맥혈 산소포화상태를 측정하는 비침습적 방법
SP02로 표시되며 의식이 저하되어 조직의 저산소증을 알수 없는 집중치료실이나 수술실에서 주로 사용
SP02
PaO2
의미
50%
25mmHg
생명이 위험한 저산소혈증
75%
40mmHg
중증도 저산소혈증
90%
55mmHg
경한 저산소혈증
나. 검사과정
환자의 귓불, 이개,손가락 끝 등 탐침을 부착할 부분을 혈류가 증가하도록 문질러줌
측정부위에 센서부착(센서는 따듯하여 조직의 혈류를 증가시킴)
빛이 조직을 통해 지나가고 센서는 조직에 흡수된 빛의 양을 측정
다.주의사항
-센서부착부위를 움직이면 적외선 흡수가 변하여 정밀하게 측정할수 없으므로 움직임이 없도록 한다
-혈압측정을 위한 커프,압박붕대, 동맥 내 장치, 카테터 삽입 부위 아래는 센서를 부착하지 않는다( 정상적으로 측정되지 않으므로)
-맥박 산소계측만으로는 환기상태와 산-염기 균형 상태를 알 수 없으므로 Sp02와 함께 활력징후 및 동맥혈 가스분석을 주기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마취 간호사
기관지 확장증 간호사례
AMI case study
심근경색증
간호력 실습 CASE
SDH-subdural hemorrhage(외상성 경막하 출혈) TA환자
울혈성 심부전(CHF: chronic heart failure) 환자의 진단과 치료
항암 후 퇴원 환자 간호
내과 실습일지.1
[아동간호학] 고위험 아동간호.pptx
<제세동기> 제세동기사용법, CPR,defibrillator ,심장제세동기, 목적과 순서.pptx
성인간호학) 관상동맥질환 허혈성 심장질환 병태생리, 원인, 위험요인
ACLS, advenced cardio vascular life support
[간호학] 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