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실험 제목
Ⅱ. 실험 목적
Ⅲ. 실험 이론
Ⅳ. 실험 기구
Ⅴ. 실험방법
Ⅵ. 참고문헌
Ⅱ. 실험 목적
Ⅲ. 실험 이론
Ⅳ. 실험 기구
Ⅴ. 실험방법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출발점인 (0,0)을 기준으로 할 때, 수평방향의 위치 와 수직방향의 위치 는
, 이다.
위 식을 통해 포물선의 궤도방정식은 임을 알 수 있다.
Ⅳ. 실험 기구
포사체 발사대 1개
포토게이트(Photogate) 1개
Ⅴ. 실험방법
1. 포사체 발사대를 실험대 가장자리에 조임쇠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2. 포사체 발사대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고, 포토게이트 Mounting bracket을 이용하여 포토게이트를 설치한다.
3. 발사대에 끈으로 연결되어 있는 나무막대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공을 발사대 안에 장전한다. 이때에 1단 혹은 2단만 사용하도록 한다. (3단은 지나치게 멀리 나가므로 주의한다.)
4. 몇 회의 시험 발사를 통해 대략적인 낙하지점을 예측한 후, 예상되는 낙하지점에서 먹지를 이용하여 낙하위치를 표시 후, 발사 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한다.
5. 각도를 달리하여 낙하지점을 표시하고 수평도달거리를 측정한다.
6. 데이터스튜디오에 포토게이트를 연결하고 결과값을 측정한 뒤 분석한다.
Ⅵ. 참고문헌
1. 실사구시의 물리학,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물리교재연구실, 한양대학교 출판부
2. Basic 고교생을 위한 물리 용어사전, (주)신원문화사
출발점인 (0,0)을 기준으로 할 때, 수평방향의 위치 와 수직방향의 위치 는
, 이다.
위 식을 통해 포물선의 궤도방정식은 임을 알 수 있다.
Ⅳ. 실험 기구
포사체 발사대 1개
포토게이트(Photogate) 1개
Ⅴ. 실험방법
1. 포사체 발사대를 실험대 가장자리에 조임쇠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2. 포사체 발사대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고, 포토게이트 Mounting bracket을 이용하여 포토게이트를 설치한다.
3. 발사대에 끈으로 연결되어 있는 나무막대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공을 발사대 안에 장전한다. 이때에 1단 혹은 2단만 사용하도록 한다. (3단은 지나치게 멀리 나가므로 주의한다.)
4. 몇 회의 시험 발사를 통해 대략적인 낙하지점을 예측한 후, 예상되는 낙하지점에서 먹지를 이용하여 낙하위치를 표시 후, 발사 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한다.
5. 각도를 달리하여 낙하지점을 표시하고 수평도달거리를 측정한다.
6. 데이터스튜디오에 포토게이트를 연결하고 결과값을 측정한 뒤 분석한다.
Ⅵ. 참고문헌
1. 실사구시의 물리학,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물리교재연구실, 한양대학교 출판부
2. Basic 고교생을 위한 물리 용어사전, (주)신원문화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