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복지] 지구촌의 지역에 따라 독특한 음식에 대하여 호기심을 자극하여 관심을 끌어낼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질문과 대답형식의 강의자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문화사회복지] 지구촌의 지역에 따라 독특한 음식에 대하여 호기심을 자극하여 관심을 끌어낼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질문과 대답형식의 강의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도입
· 음식의 이동
· 음식 만드는 방법의 이동

Ⅱ. 전개
· 환경에 따라 발달한 음식과 세계의 다양한 식생활 문화
· 재미있는 세계의 음식 이야기

Ⅲ. 심화
· 음식에 대한 편견 발견 및 음식문화 발전을 위한 상호협력

Ⅳ. 정리 및 평가
· 평가 및 과제 수행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는 음식이다. 이슬람교는 기독교만큼이나 전 세계에 널리 퍼져있는 종교로 현재 5억이 넘는 신자가 있다.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은 '코란’의 식사법에 따라 돼지고기를 절대로 먹지 않고 대신 양고기를 먹는데, 양고기는 이슬람교를 믿는 아라비아 지방의 어떤 요리에나 쓰일 만큼 그들의 식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소중한 재료이다.
이슬람교도들이 원래부터 돼지고기를 먹지 않은 것은 아니다. 이슬람교도들이 많이 살고 있는 중동지방은 지금은 덥고 메마르지만 예전에는 풀과 나무가 우거진 곳이었다고 한다. 그늘과 물이 있어서 돼지가 살기 좋은 곳이었다. 돼지는 열사병에 걸리지 않도록 그늘에서 키워야 하고, 늘 물을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곳에 사람들이 늘어나고, 농사지을 땅이 더욱 필요해지면서 사람들은 나무를 베기 시작했다. 숲은 점점 없어지고 초원을 메마르기 시작했으며, 물과 그늘이 없어져 돼지를 키울 수 없게 된 사람들은 돼지 대신 소나 염소를 기르게 되었다. 그래서 오랫동안 돼지고기를 먹지 않았고, 그러다 보니 이슬람교 사람들의 입맛은 변하게 되었다(김현숙 김성은, 2007).
Ⅲ. 심화
· 음식에 대한 편견 발견 및 음식문화 발전을 위한 상호협력
'재미있는 세계의 음식 이야기’를 통해 '내가 그 당시 그 지역의 사람이라면 어떻게 했을까?’를 조별로 서로 이야기 나눈다. (특별한 음식을 먹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들을 내어 놓고 나누며, 다른 나라의 문화를 수용, 존중하는 태도를 갖는다)
一 도화지에 '글로벌 시대의 음식문화’란 제목으로 돌아가면서 말없이 그림 이어나가기를 2회 한 후 순서대로 자신이 그린 그림을 설명한다(자신의 느낌/생각 나누기). (다른 나라의 영향을 받아 우리나라의 김치가 오늘날의 맛있고, 다양하며, 세계적인 김치로 발전한 것처럼 글로벌 시대 음식문화 발전을 위해 상호 협력할 점을 이야기 나눈다)
Ⅳ. 정리 및 평가
· 평가 및 과제 수행
“ 특별한 음식을 먹는 사람들에 대해 생각이 달라진 것들을 정리한다.
一 프로그램의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소감문을 작성, 발표한다.
참고문헌
우수명 저, 다문화사회복지개론, 양서원 2015
박지영, 배화숙 외 저, 함께하는 사회복지의 이해, 학지사 2014
김태환 저, 다문화 사회와 한국 이민정책의 이해, 집사재 2015
우국희, 임세희 외 저,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공동체 2015
최영민, 이기영 외 저, 다문화사회복지론, 학지사 2015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2.27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54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