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암 박은식의 역사인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백암 박은식의 역사인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머리말
2. 백암 박은식 선생의 생애
1) 황해도의 신동
2) 학자, 언론인과 교육자로서의 애국 계몽 활동
Ⅱ. 본론
1. 고대사관
1) 박은식의 「역사가」를 통해
2) 대동민족론
2. 근대사관
  1) 근대사관의 출발
2) 망국의 외인과 내인
3) 국혼의 투쟁
3. 역사서 속의 국혼론
1) 『한국통사』
2) 통사와 혈사, 광복사
Ⅲ. 결론
1. 맺음말
2. 레포트를 마치며

본문내용

국혼이 있어야 한다. 박은식은 한국통사가 비록 정사는 될 수 없으나 국혼이 담긴 책이고, 역사가 보존되는 것은 나라의 혼이 보존되는 것이라 하였다. 역사를 잊은 발해는 사라졌으며 우리나라가 광복이 되었다 해도 국민들이 국혼을 잊어 또다시 망국에 치닫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바로 박은식의 한국통사, 혈사가 될 것이다.
Ⅲ. 결론
맺음말
박은식 선생은 독립운동가로서 많은 애국계몽운동을 하였다. 박은식은 일제에 대한 민족적 저항의식을 바탕으로 한 근대 민족주의 역사학을 지향하면서 독립사상을 고취하고 국혼유지를 위한 그 가장 강력하고 핵심적인 수단으로 역사를 선택하였던 것이다. 그는 국혼이 살아있어야 나라가 살 수 있다는 신념 하에서 민족사관을 가지고 『한국통사』등을 서술하였다. 박은식은 나라가 망하는 궁극적인 원인은 정신의 해이함이고 바로 국혼의 쇠퇴함 때문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망국에는 외부적 요인뿐만 아니라 민족의 내부에도 원인이 있는 것이고 이를 고발하는 것이 『한국통사』이며, 지금 한국이 해방이 되고 광복이 되었어도 망국이 되는 것을 두려워하고 통사와 혈사를 찾지 않는 것에 낙관하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단순한 사실관계의 나열이 아닌 국혼이 담긴 역사서의 저술은 그의 애국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역사인식을 대변하고 있다.
2. 레포트를 마치며
역사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던 것은 어릴 적 만화로 접하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였다. 사뭇 다른 두 내용에서 삼국사기는 조금 더 신화적인 느낌이 들었고 삼국유사는 더 딱딱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해서 알게 된 계기이지만 커서는 더 이상 관심을 두지 않았다. 교양으로 한국인의 역사인식을 선택하면서 무엇을 배울지 상상하였었는데 내가 모르던 역사관과 역사학자들을 알게 되었고, 그들이 어떠한 시대적 배경에서 어떠한 역사관을 가지게 되었는지도 알게 되었다. 박은식 선생에 대해서 조사하면서 조사하는 동안 계속 흥미로웠다. 많은 활동을 하신 분인데 자세히 몰랐던 분이고, 나라를 빼앗기는 슬픔과 고통이 나에게도 전해졌으며 어떠한 의식으로 한국통사를 저술했는지도 느껴졌다. 많은 역사학자들 중에서 박은식 선생을 선택한 이유는 아무래도 한국인이기 때문에 일제강점기 때의 압력과 고통을 겪은 사람의 역사정신이 궁금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압력 속에서 변절하지 않고 민족이 살기 위해서 역사를 선택한 이유는 일제로부터의 정신적 독립을 위해서였을 것이고 그것을 계속 떠올리고 상기시키는 것이 희망이었고 민족이 본래의 해야 할 일이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민족의 아픔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원인이 어디에 있었는가를 찾아가는 과정이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어느정도 필요한 의식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정신이 바로서지 않으면 몸을 빼앗긴다는 것은 정신을 바로 세우면 몸을 빼앗기지 않을 수 있다는 관점으로도 볼 수 있을 것 같다. 과거를 돌이켜 보는 것, 더 나은 미래에 대한 희망과 냉정한 관철을 가지는 것이 역사를 바라보는 좋은 시각일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 가격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6.02.28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5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