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2012년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2. 2013년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3. 2016년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2012년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2. 2013년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3. 2016년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개선하되, 청소년 쉼터 등이 사회복지시설 기준에 충족할 수 있도록 해당 개정규정을 시행시기를 공포 후 1년이 경과한 후로 하였다.
둘째, 사회복지사 자격 정지 및 취소요건에 대한 법적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자격제도의 공공성과 투명성을 제고하도록 하였다.
셋째, 이 법에 따른 사회복지사가 아니면 사회복지사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위반 시 과태료 규정을 마련하였다.
넷째,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시설을 설치ㆍ운영하려는 자가 사회복지사를 임면하려는 경우 이를 시ㆍ도시자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보고하도록 하였다.
Ⅲ 결론
이상과 같이 최근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된 부분만을 정리하여 살펴보았다. 최근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 이유와 내용을 살펴보면 시설운영자의 의무를 강화하고 이를 지키지 않았을 때 벌칙을 적용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매우 바람직한 경향으로 보이고 이를 통해 시설 종사자와 시설이용자의 인권이 보다 강화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Ⅳ 참고자료
- 최정섭, “사회복지법제론”, 법문사, 2011
- 법제처, 사회복지사업법“, 2016
- 도가니 대책위원회, “도가니 아직 끝나지 않았다.”, 2012
둘째, 사회복지사 자격 정지 및 취소요건에 대한 법적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자격제도의 공공성과 투명성을 제고하도록 하였다.
셋째, 이 법에 따른 사회복지사가 아니면 사회복지사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위반 시 과태료 규정을 마련하였다.
넷째,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시설을 설치ㆍ운영하려는 자가 사회복지사를 임면하려는 경우 이를 시ㆍ도시자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보고하도록 하였다.
Ⅲ 결론
이상과 같이 최근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된 부분만을 정리하여 살펴보았다. 최근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 이유와 내용을 살펴보면 시설운영자의 의무를 강화하고 이를 지키지 않았을 때 벌칙을 적용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매우 바람직한 경향으로 보이고 이를 통해 시설 종사자와 시설이용자의 인권이 보다 강화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Ⅳ 참고자료
- 최정섭, “사회복지법제론”, 법문사, 2011
- 법제처, 사회복지사업법“, 2016
- 도가니 대책위원회, “도가니 아직 끝나지 않았다.”, 2012
추천자료
사회복지행정의 최근경향과 사회복지조직의 책임성(accountability)의 중요성을 서술
사회복지행정의 최근동향(환경) 분석과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수요촉발계기 3가지-서,본,결론...
최근 사회복지행정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어떻게 사회복지행정이 변화되어야 하는지 본...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성과중 하나는 사회복지에 대한 국민의 의식과 관심이 높아...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역사를 1900년부터 가장 최근까지 작성하고 90년대 이후 사회복지행정의 ...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의 개념과 한국의 사회복지의 발전요인과 단계, 발전과정, 동인, 현...
최근 이슈화된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정책 혹은 이미 발표된 사회복지정책 중 한 가지 선택하...
거주지의 지역사회(지방자치단체의 시 혹은 구)에서 최근 수립된 지역사회복지 계획의 내용을...
최근 장기요양서비스, 사회서비스 바우처 사업 등은 한국 사회복지조직의 특성을 변화시키고 ...
[사회복지조사론] 최근 사회문제가 되는 사례(아동학대, 청소년 비행, 다문화 가족, 노인...
우리나라 사회복지 행정의 최근 경향을 파악하고 사회복지조직의 책임성에 관해 분석하시오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각 시기별 주요한 특성을 기술하고 최근 우리나라사회복지행정에서 강조...
최근 국내외 또는 여러분 주변에서 일어난 사회 현상 또는 문제를 한 가지 생각해 보고 그 문...
사회복지실천에서 로웬버그와 돌고프(Loewenberg & Dolgoff)의 윤리 원칙이 어떻게 적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