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당 통치제도와 다른 나라에의 영향, [율령체제 형성, 균전제, 조용조 세제의 확립, 부병제 실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당 통치제도와 다른 나라에의 영향, [율령체제 형성, 균전제, 조용조 세제의 확립, 부병제 실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율령체제의 형성
Ⅱ.균전제, 조용조 세제의 확립
Ⅲ. 부병제 실시
참고자료

본문내용

때에는 관내지역에만 병부를 두다가 태종 때에는 병제가 완비되어 전 국으로 확산되었다. 부병제 실시를 위해 당조에서는 지방에 절충부를 두고, 여기에 병역 해 당 농민을 등록시켜 평상시에는 농민으로 생업에 종사하다가 농한기를 이용해 훈련을 받도 록 하였다. 21~59세의 정남 가운데에서 3명당 1명씩 3년에 한 번씩 징집하여 근무하게 하 고 이들은 장비 식량 등을 스스로 마련하게 되어 있었는데, 국가에서는 그 반대급부로서 정남 1인에게 토지를 지급하는 균전법을 시행하고, 근무기간 중에는 조용조의 세금을 면제 하였다. 부병제의 장점은, ①전쟁이 없을시 농민은 농업에 종사할 수 있었고 전쟁시에는 장 군에게 지휘권을 주었다가 상황이 종결시 반납하도록 해 ②군대양성을 위한 국고지출을 막 았으며 또한 ③무인들이 병권을 장악해 반란을 일으키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후 수도에서 숙위하는 위사들이 귀족과 세력가들을 위한 노역에 자주 동원됨으 로써 일종의 사역병으로 전락하게 되었으며 또한 정부가 장기근무자에 대한 관리를 소홀히 해 전사자에 대한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았다. 그래서 부병은 점차 사회에서 경시되고 그 질이 하락하였으며 이탈자도 많아져 시골로부터 수도에 병사를 뽑아 올릴 능력도 없는 지 경에 이르렀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현종때에는 모병을 하여 수도를 지키게 하고 변방은 번진의 군대에게 방위의 임무를 맡도록 하였다.
2. 우리나라의 부병제
한국에서는 고려시대에 들어와 부병제가 실시된 것으로 전하고 있지만, 그 내용이 당나라에서 전형적으로 시행되었던 것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고려의 병제를 부병제로 간주할 수 있느냐에 대한 견해가 엇갈려 이른바 ‘부병제설’과군반씨족설‘ 이 대립하고 있다. 고려시대의 경군은 2군 6위로 편제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부병제설에서는 이들이 전국 각지에 일반농민으로 구성되어 있는 주현군에서 3년마다 1번씩 교대로 서울로 번상하여 중앙에서 복무하는 병농일치의 부병으로 보고 있고, 군반씨족설에서는 이들이 병농일치의 부병이 아니라 전문적 직업적 군인집단인 군반씨족에서 특별히 선발되어 향리 등과 함께 국가의 관료체계의 말단에 위치한 사회적 신분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고려 말 부병제의 재건 논의를 거쳐 조선 전기의 병제도 역시 부병제 또는 국민개병제로 지칭되었다.
참고자료; 중국사1/윤내현/민음사/1991
중국중세사/미야자키 이치다사/세론서원/1996
두산세계대백과사전
네이버백과사전
  • 가격9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3.06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58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