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비사용법
1-1 디지털 멀티미터
1-1.1 전원설정
1-1.2 전면 판넬 기능
1-1.3 데이터 측정법
1-2 파워 서플라이
1-2.1 전면 판넬 기능
1-2.2 서플라이 사용법
2. 회로 구성법
1-1 브레드 보드
1-1.1 구성 및 도구
1-1.2 전자 회로도에 사용되는 기호
1-1.3 회로연결의 예
3. 저항읽는법
1-1 저항
1-1 디지털 멀티미터
1-1.1 전원설정
1-1.2 전면 판넬 기능
1-1.3 데이터 측정법
1-2 파워 서플라이
1-2.1 전면 판넬 기능
1-2.2 서플라이 사용법
2. 회로 구성법
1-1 브레드 보드
1-1.1 구성 및 도구
1-1.2 전자 회로도에 사용되는 기호
1-1.3 회로연결의 예
3. 저항읽는법
1-1 저항
본문내용
출력단자와 채널2의 (+) 출력단자를
프로브로 부하에 연결합니다.
(3)양전원 기능(듀얼기능)
채널1과 채널2를 연결하여 +30V(양의 전압)와 -30V(음의 전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전원 스위치를 오프합니다.
2) AC 115V / 230V 선택스위치를 입력전압과 일치하도록 선택합니다.
3) 쇼트바로 출력(GND)단자와 채널1의 (+)출력단자및 채널2의 (-)출력단자를
쇼트 시킵니다.
4) 전압 보륨를 반시계방향 끝까지 돌려 놓습니다.
5) 전류 제한 보륨을 시계최대 방향으로 돌립니다.
6) 전원 코드를 AC라인에 연결합니다.
7) 전원스위치를 켭니다.
8) 채널1에서 0~-30V인 음의 전압을, 채널2에서 0~+30V인 양의 전압을 부하에 접속
하여 사용 할수있게 합니다.
참고 문헌
-http://eztmi.com/ 이지계측기 홈페이지
-네이버 블로그( 재미로 즐기는)
2. 회로 구성법
1-1 브레드 보드
1-1.1 구성 및 도구
(1) 클립
내부적으로 날 클립을 세워놓은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부품의 다리를 끼우 면 고정이 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2) 브레드보드 내부 모습
1.A, B, E, F 부분은 가로 방향으로 연결 되어있으며, C 와 D 부분은 세로 방향으로 5개씩 연결되어 있습니다.
2.일반적으로 A, B, E, F 부분은 전원이나 접지점으로 이용되고 C 와 D 부분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서 회로의 구성성분으로 이용됩니다.
(3) 부품연결선 (JUMPER WIRE) (4) 라디오 펜치(평활펜치)
각 부품간의 연결을 위해 사용합니다 핀을 뽑거나 펼 때 사용됩니다. .
(5) 발광다이오드
바른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때 빛이 발생합니다
(6) 트렌지스터 (7) 저항
증폭작용과 스위칭 작용이 있습니다. 전류의 흐름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8) 콘덴서
직류에서는 전기를 축적하고
교류에서는 직류를 차단하고 교류성분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1-1.2 전자 회로도에 사용되는 기호
그림
이름
기호
표기
그림
이름
기호 표기
저항
R
트랜지스터(NPN)
Q
가변 저항
VR또는R
발광 다이오드 ( LED )
D
유극성콘덴서
(전해 콘덴서)
C
스피커
SP
무극성콘덴서
C
부저
BZ
가변 콘덴서
C
크리스탈
Y
스위치
SW
인덕턴스
L
트랜지스터(PNP)
Q
퓨즈
F
트랜지스터(NPN)
Q
접지 ( GND )
-
발광 다이오드 ( LED )
D
전원 ( VCC )
-
1-1.3 회로연결의 예
(1) 저항의 직렬 연결
R1 과 R2 가 12v의 전압에 직렬로 연결되있는 회로도입니다.
이것을 브레드 보드로 구성하면 우측 그림과 같은
구성도가 나오게 됩니다.
(2) 저항의 직, 병렬 연결
R1 과 R2, R3 가 직렬 병렬로 연결되 있는 회로도입니다.
이것을 브레드 보드로 구성하면 우측 과 같은 구성도가 나오게 됩니다.
참고문헌
-네이버 블로그(서민상의 공학과 실무 강의실)
-네이버 블로그( HeLLo 브레드 보드)
-네이버 블로그(오픈랩의 네이버 블로그)
3. 저항읽는법
1-1 저항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입니다.
회로에서의 그림은 이며, 단위는 Ω 이고, 기호표기는 R입니다.
또한 만드는 재료에 따라 탄소형, 금속피막형 등이 있으며 저항은 극성이 없습니다.
저항값은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순서에 따라
표에 적힌 값을 넣어 읽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저항띠색이 주 주 흰 검 갈이 있다고 한다면
주(3) 주(3) 흰(9) * 10의(검(0)제곱) = 339Ω 에 갈색의 오차가 +-1% 이니 335Ω~342Ω 입니다.
참고문헌
-네이버 블로그(carens22004의 네이버 블로그)
프로브로 부하에 연결합니다.
(3)양전원 기능(듀얼기능)
채널1과 채널2를 연결하여 +30V(양의 전압)와 -30V(음의 전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전원 스위치를 오프합니다.
2) AC 115V / 230V 선택스위치를 입력전압과 일치하도록 선택합니다.
3) 쇼트바로 출력(GND)단자와 채널1의 (+)출력단자및 채널2의 (-)출력단자를
쇼트 시킵니다.
4) 전압 보륨를 반시계방향 끝까지 돌려 놓습니다.
5) 전류 제한 보륨을 시계최대 방향으로 돌립니다.
6) 전원 코드를 AC라인에 연결합니다.
7) 전원스위치를 켭니다.
8) 채널1에서 0~-30V인 음의 전압을, 채널2에서 0~+30V인 양의 전압을 부하에 접속
하여 사용 할수있게 합니다.
참고 문헌
-http://eztmi.com/ 이지계측기 홈페이지
-네이버 블로그( 재미로 즐기는)
2. 회로 구성법
1-1 브레드 보드
1-1.1 구성 및 도구
(1) 클립
내부적으로 날 클립을 세워놓은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부품의 다리를 끼우 면 고정이 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2) 브레드보드 내부 모습
1.A, B, E, F 부분은 가로 방향으로 연결 되어있으며, C 와 D 부분은 세로 방향으로 5개씩 연결되어 있습니다.
2.일반적으로 A, B, E, F 부분은 전원이나 접지점으로 이용되고 C 와 D 부분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서 회로의 구성성분으로 이용됩니다.
(3) 부품연결선 (JUMPER WIRE) (4) 라디오 펜치(평활펜치)
각 부품간의 연결을 위해 사용합니다 핀을 뽑거나 펼 때 사용됩니다. .
(5) 발광다이오드
바른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때 빛이 발생합니다
(6) 트렌지스터 (7) 저항
증폭작용과 스위칭 작용이 있습니다. 전류의 흐름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8) 콘덴서
직류에서는 전기를 축적하고
교류에서는 직류를 차단하고 교류성분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1-1.2 전자 회로도에 사용되는 기호
그림
이름
기호
표기
그림
이름
기호 표기
저항
R
트랜지스터(NPN)
Q
가변 저항
VR또는R
발광 다이오드 ( LED )
D
유극성콘덴서
(전해 콘덴서)
C
스피커
SP
무극성콘덴서
C
부저
BZ
가변 콘덴서
C
크리스탈
Y
스위치
SW
인덕턴스
L
트랜지스터(PNP)
Q
퓨즈
F
트랜지스터(NPN)
Q
접지 ( GND )
-
발광 다이오드 ( LED )
D
전원 ( VCC )
-
1-1.3 회로연결의 예
(1) 저항의 직렬 연결
R1 과 R2 가 12v의 전압에 직렬로 연결되있는 회로도입니다.
이것을 브레드 보드로 구성하면 우측 그림과 같은
구성도가 나오게 됩니다.
(2) 저항의 직, 병렬 연결
R1 과 R2, R3 가 직렬 병렬로 연결되 있는 회로도입니다.
이것을 브레드 보드로 구성하면 우측 과 같은 구성도가 나오게 됩니다.
참고문헌
-네이버 블로그(서민상의 공학과 실무 강의실)
-네이버 블로그( HeLLo 브레드 보드)
-네이버 블로그(오픈랩의 네이버 블로그)
3. 저항읽는법
1-1 저항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입니다.
회로에서의 그림은 이며, 단위는 Ω 이고, 기호표기는 R입니다.
또한 만드는 재료에 따라 탄소형, 금속피막형 등이 있으며 저항은 극성이 없습니다.
저항값은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순서에 따라
표에 적힌 값을 넣어 읽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저항띠색이 주 주 흰 검 갈이 있다고 한다면
주(3) 주(3) 흰(9) * 10의(검(0)제곱) = 339Ω 에 갈색의 오차가 +-1% 이니 335Ω~342Ω 입니다.
참고문헌
-네이버 블로그(carens22004의 네이버 블로그)
추천자료
[전기회로실험] Mesh Current(망로 전류) and Bridge Circuit(평형 브리지 회로) 결과보고서
[전기회로실험] 중첩 정리 / 테브닌 정리 / 노튼 정리 (Superposition / Thevenin / Norton T...
[전기회로실험] 오실로스코프와 함수발생기(신호발생기)를 이용한 전압 및 주파수측정 결과보...
[전기회로실험] 인덕턴스의 직병렬 연결 결과보고서
[전기회로실험] 커패시턴스의 직병렬 연결 결과보고서
[전기회로실험] 키르히호프 전류법칙 결과보고서
[전기회로실험] 저대역 및 고대역 필터 / 대역통과 및 대역차단 필터 결과보고서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1 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전압분배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4 예비보고서-공통콜렉터 증폭기(이미터폴로워)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2 예비보고서-트랜지스터의 콜렉터귀환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6 결과보고서-공통베이스 증폭기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1 예비보고서-트랜지스터의 전압분배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0 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25 결과보고서-A급 공통이미터 전력증폭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