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일자
2. 실험제목
3. 실험목표
4. 실험이론
5. 기구 및 시약
6. 실험방법
7. 실험결과
8. 고찰
2. 실험제목
3. 실험목표
4. 실험이론
5. 기구 및 시약
6. 실험방법
7. 실험결과
8. 고찰
본문내용
ene diamine의 분자량 + sebacoyl chloride분자량 - 2HCl
116.21g/mol + 239.14g/mol - 2(36.46g/mol) = 286.43g/mol
실제 수득량 : 1.123g
220~225℃이 나왔다.
Hexamethylene diamine IR
N-H peak는 3500-3100cm1에서 나타난다.
Sebacoyl chloride IR
C=O peak가 1800cm1에서 나오고 C-Cl peak는 785~540cm1에서 나온다.
Nylon 6,10 IR
amide 결합의 C=O peak가 1680-1630cm1에서 나타나고
N-H peak는 3500-3100cm1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Nylon 6,10이 잘 합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8. 고찰
이번 실험은 hexamethylene diamine과 sebacoyl chlroride를 합성하여 6,10 Nylon을 만드는 실험을 했다. hexamethylene diamine은 수용액에 녹기 때문에 물에 녹이고 sebacoyl chloride는 물에 민감하기 때문에 수용액에 넣지 않고 유기용매에 녹였다. 그리고 HCl이 나오기 때문에 중화시키기 위해 NaOH를 넣어 주었다. 일반적으로 HCl이 빠진 것을 pH paper로 확인할 수 있는데 계면중합의 경우 물 때문에 빠져나갈 수 없기 때문에 NaOH와 중화반응을 통해 염(NaCl)을 만들어 bp를 뽑아야 한다. 계면중합의 경우에는 chain polymerization 의 일부 특징처럼 한번 사슬이 만들어지면 계속 그 사슬로 달라붙어 분자량의 증가가 급격하게 일어난다. 그래서 step polymerization보다 분자량이 높게 나타난다. 우리 조는 수득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는데 아마 washing을 할 때 일부가 빠져 나가서 그런 것 같다. washing을 할 때 Methanol로 하는 이유는 물과 유기용매를 모두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다고 한다. 불순물과 분자량이 낮은 oligomer들을 Methanol로 씻어낼 수 있다. 각각을 합성하고 그 결과를 IR로 찍어보았을 때 제대로 합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가 사용하는 nylon이 이런 방법으로 합성이 된다는 것을 직접 실험해보니 신기했다. 원래 실험에서는 유기용매로 CH2Cl2를 쓰는데 우리는 CCl₄를 썼다. 다음엔 CH2Cl2를 사용해서 제대로 나일론을 합성해보고 싶다.
116.21g/mol + 239.14g/mol - 2(36.46g/mol) = 286.43g/mol
실제 수득량 : 1.123g
220~225℃이 나왔다.
Hexamethylene diamine IR
N-H peak는 3500-3100cm1에서 나타난다.
Sebacoyl chloride IR
C=O peak가 1800cm1에서 나오고 C-Cl peak는 785~540cm1에서 나온다.
Nylon 6,10 IR
amide 결합의 C=O peak가 1680-1630cm1에서 나타나고
N-H peak는 3500-3100cm1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Nylon 6,10이 잘 합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8. 고찰
이번 실험은 hexamethylene diamine과 sebacoyl chlroride를 합성하여 6,10 Nylon을 만드는 실험을 했다. hexamethylene diamine은 수용액에 녹기 때문에 물에 녹이고 sebacoyl chloride는 물에 민감하기 때문에 수용액에 넣지 않고 유기용매에 녹였다. 그리고 HCl이 나오기 때문에 중화시키기 위해 NaOH를 넣어 주었다. 일반적으로 HCl이 빠진 것을 pH paper로 확인할 수 있는데 계면중합의 경우 물 때문에 빠져나갈 수 없기 때문에 NaOH와 중화반응을 통해 염(NaCl)을 만들어 bp를 뽑아야 한다. 계면중합의 경우에는 chain polymerization 의 일부 특징처럼 한번 사슬이 만들어지면 계속 그 사슬로 달라붙어 분자량의 증가가 급격하게 일어난다. 그래서 step polymerization보다 분자량이 높게 나타난다. 우리 조는 수득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는데 아마 washing을 할 때 일부가 빠져 나가서 그런 것 같다. washing을 할 때 Methanol로 하는 이유는 물과 유기용매를 모두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다고 한다. 불순물과 분자량이 낮은 oligomer들을 Methanol로 씻어낼 수 있다. 각각을 합성하고 그 결과를 IR로 찍어보았을 때 제대로 합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가 사용하는 nylon이 이런 방법으로 합성이 된다는 것을 직접 실험해보니 신기했다. 원래 실험에서는 유기용매로 CH2Cl2를 쓰는데 우리는 CCl₄를 썼다. 다음엔 CH2Cl2를 사용해서 제대로 나일론을 합성해보고 싶다.
키워드
추천자료
고객만족 경영에 관한 연구-A+자료
6장 연습문제
청소년의 성문화에 대해서....
지아장커 감독의 작품세계와 현실반영의식에 대한 고찰
대체에너지(대체에너지개발)의 정의, 대체에너지(대체에너지개발)의 필요성, 대체에너지(대체...
사도바울 요약 및 감상평 10 - 제19장 바울과 구원: 한국교회에 대한 패러다임으로서 갈라디...
회로이론10
호흡기내과(CM) case study, COPD & Pneumonia
볼링 학습지도안
아날로그통신및실험
아동성폭력 사건에서의 범죄자 신상정보 공개제도와 형사절차상 2차 피해에 관한 행정법적 검...
전자회로실험 교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