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소설의 가능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후소설의 가능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내용 요약

Ⅱ. 비판점과 다른 견해
1. 한국 전쟁기의 전시문단 양상
2. 성장소설과 전쟁소설
3. 구세대 문인 선정에 관한 문제-염상섭

본문내용

조선문학가동맹에 관여한 것은 당파성을 표나게 내세운 단체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염상섭은 당파성이 확연히 드러난 북로당의 조선문예총동맹과 이른바 민족주의계의 중앙 문필가협회의 중간에 놓인 남로당 및 조선문학가동맹에 속해있었다. 뒷날 조선문학동맹이 조선문예총동맹과 합동하는 것은 1951년이지만 그 이전까지의 두 단체의 성격은 여러 모로 다른 점이 있었다. 임화가 내세운 인민성의 개념에서도 그 차이점이 읽혀지거니와 예컨대 시민성에서 인민성이라는 중간 단계를 거쳐 당파성으로 나아가게 되어 있음이 순리라고 여긴 지식계층이 있었다는 것, 그들의 이면을 다만 인민성이라 은유화한 것으로 이 사정이 설명될 수 있다. 김윤식, 앞의 책, pp.410~411.
이러한 세계관의 문제, 작가 변모, 활동 경향 등의 이유로 인하여 염상섭은 문협 정통파와 같이 분류되지 않는 것이다. 문협 정통파와는 달리 분류되지만 또 다른 경향의 구세대 작가인 염상섭은 일제시대부터 전후 문단에 이르기까지 한국 소설사에 많은 영향을 미친 중요한 작가임에는 틀림없다.
<참고문헌>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1993.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2』, 민음사, 2002.
구인환 외 공저,『한국 전후문학연구』, 삼지원, 1995.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상사론』, 일지사, 1992.
이재선, 『현대 한국 소설사 1945~1990』, 민음사, 1991.
윤병로, 『증보판 한국 근·현대문학사』, 명문당, 2000.
장석주, 『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
문학과 논리 제3호, 『한국전후문학의 형성과 전개 』, 태학사, 1993.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03.18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74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