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내용 요약
Ⅱ. 비판점과 다른 견해
1. 한국 전쟁기의 전시문단 양상
2. 성장소설과 전쟁소설
3. 구세대 문인 선정에 관한 문제-염상섭
Ⅱ. 비판점과 다른 견해
1. 한국 전쟁기의 전시문단 양상
2. 성장소설과 전쟁소설
3. 구세대 문인 선정에 관한 문제-염상섭
본문내용
조선문학가동맹에 관여한 것은 당파성을 표나게 내세운 단체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염상섭은 당파성이 확연히 드러난 북로당의 조선문예총동맹과 이른바 민족주의계의 중앙 문필가협회의 중간에 놓인 남로당 및 조선문학가동맹에 속해있었다. 뒷날 조선문학동맹이 조선문예총동맹과 합동하는 것은 1951년이지만 그 이전까지의 두 단체의 성격은 여러 모로 다른 점이 있었다. 임화가 내세운 인민성의 개념에서도 그 차이점이 읽혀지거니와 예컨대 시민성에서 인민성이라는 중간 단계를 거쳐 당파성으로 나아가게 되어 있음이 순리라고 여긴 지식계층이 있었다는 것, 그들의 이면을 다만 인민성이라 은유화한 것으로 이 사정이 설명될 수 있다. 김윤식, 앞의 책, pp.410~411.
이러한 세계관의 문제, 작가 변모, 활동 경향 등의 이유로 인하여 염상섭은 문협 정통파와 같이 분류되지 않는 것이다. 문협 정통파와는 달리 분류되지만 또 다른 경향의 구세대 작가인 염상섭은 일제시대부터 전후 문단에 이르기까지 한국 소설사에 많은 영향을 미친 중요한 작가임에는 틀림없다.
<참고문헌>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1993.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2』, 민음사, 2002.
구인환 외 공저,『한국 전후문학연구』, 삼지원, 1995.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상사론』, 일지사, 1992.
이재선, 『현대 한국 소설사 1945~1990』, 민음사, 1991.
윤병로, 『증보판 한국 근·현대문학사』, 명문당, 2000.
장석주, 『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
문학과 논리 제3호, 『한국전후문학의 형성과 전개 』, 태학사, 1993.
이러한 세계관의 문제, 작가 변모, 활동 경향 등의 이유로 인하여 염상섭은 문협 정통파와 같이 분류되지 않는 것이다. 문협 정통파와는 달리 분류되지만 또 다른 경향의 구세대 작가인 염상섭은 일제시대부터 전후 문단에 이르기까지 한국 소설사에 많은 영향을 미친 중요한 작가임에는 틀림없다.
<참고문헌>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1993.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2』, 민음사, 2002.
구인환 외 공저,『한국 전후문학연구』, 삼지원, 1995.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상사론』, 일지사, 1992.
이재선, 『현대 한국 소설사 1945~1990』, 민음사, 1991.
윤병로, 『증보판 한국 근·현대문학사』, 명문당, 2000.
장석주, 『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
문학과 논리 제3호, 『한국전후문학의 형성과 전개 』, 태학사, 1993.
추천자료
김동리의 ‘등신불’ 비평 566
김동리의 ‘무녀도’ 비평
김동리의 무속성과 신화적 상상력
김동리의 문학
[국문학개론] 국문학사 - 1960년대 소설에 대해서
이태준의 작품 중 불우한 인물들을 형상화한 단편소설 <농군>에 대한 서평
이태준의 (꽃나무는 심어 놓고) (촌띄기) (봄) (농군)의 작품 줄거리와 주인공 성격 비교 분...
이태준의 작품 <꽃나무는 심어 놓고>와 <촌띄기>의 줄거리와 주인공 성격을 비교하여 설명하...
운영전의 내용과 운영전에 대한 북한문학사에서의 시대별 가치평가(국어국문학과 고전소설강독)
(방송대)이태준 소설의 특징과 등장인물의 기능과 특징
[한중일]한중일(한국중국일본) 평화관계, 국제관계, 한중일(한국중국일본) 국제교류, 수입흐...
허균, 시대의 문제에 대해 홍길동전으로 답하다 - 홍길동전, 허균, 한국고전문학, 사회소설, ...
홍길동전, 허균, 한국고전문학, 사회소설, 임진왜란, 풍자문학, 호민론, 유재론, 허균의 생애...
김동리 (金東理)의 「역마 (驛馬)」 (작품의 해제, 표층적 분석, 심층적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