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심리건강, 행동수정사례연구, 손가락빨기행동(아동관찰및행동연구, 아동행동지도사례, 아동생활지도, 아동문제및행동수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심리건강, 행동수정사례연구, 손가락빨기행동(아동관찰및행동연구, 아동행동지도사례, 아동생활지도, 아동문제및행동수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행동수정의 이론적 배경
1) 문제행동에 대한 정의
2) 행동수정의 정의
3) 행동수정의 원리
4) 관찰법
5) 보상의 종류
2. 사례연구
1) 아동의 인적사항
2) 아동의 행동특성
3) 가족적 배경
4) 원인
5) 목표
6) 강화방법
7) 관찰방법
8) 실험과정
9) 실험결과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와 살고 있고 누나와 같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다.
누나, 엄마와 같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며 아빠는 회사에서 늦게 퇴근하는 날이 많아 현우는 아빠의 얼굴을 못보고 잠이 들 때가 많다.
4) 원인
태아는 모체 내에서도 손가락을 빠는 행동을 하는데 유아는 무엇을 빨고 있으면서 기쁨이나 안정감, 만족감을 느낄 뿐만 아니라 편안함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두려움을 느끼거나 배가 고플 때, 졸릴 때, 불쾌할 때 등 원인이 다른 불만을 충족시키기 위해 손가락을 빨게 된다.
5) 목표
습관적으로 손가락이 입에 들어가는 횟수를 줄이고 무엇에 집중하거나 놀이시간이나 TV시청시간에 손가락을 빨지 않도록 한다.
6) 강화방법
① 사회적 보상으로 칭찬을 해주거나 미소를 보여준다.
② 물질적 보상으로 포도송이 스티커를 주어주고 스티커를 모았을 경우, 현우가 좋아하는 장난감 자동차를 사준다.
7) 관찰방법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빈도기록법을 이용해서 관찰하였고 옆집 사는 유아라서 수업이 끝난 후 저녁 7시부터 8시까지 1시간동안 관찰이 이루어졌다.
8) 실험과정
사회적보상과 물질적 보상을 해주며 손가락 빨기의 행동을 하지 않게 한다.
(1) 1단계 기초선 (3일)
이 단계에서는 시험조건이 주어지지 않고 현우가 손가락을 빠는 행동을 했을 경우의 횟수를 기록하였다.
1일
2일
3일
평균
7회
5회
6회
6회
(2) 2단계 강화기간 (5일)
이 단계에서는 사회적 보상과 물질적 보상을 해줌으로써 현우가 손가락을 빨지 않도록 했다.
구분
상황별 주요행동
횟수
1일
저녁을 먹고 TV를 보면서 손가락을 빤다.
5회
2일
장난감 자동차를 가지고 놀다가 엄마한테 와서 안아달라고 한다. 엄마가 안아주니 손가락을 빤다.
6회
3일
현우에게 스티커를 보여주며 이 포도송이에 다 붙이면 장난감 자동차를 사주기로 했고 스티커를 받으려면 손가락을 빨지 말라고 했다.
4회
4일
장난감 자동차를 가지고 놀며 손가락을 빨다가 내가 쳐다보니까 웃으며 손가락을 뺐다.
4회
5일
현우가 손가락 빠는 행동을 하다가 누나와 색칠공부를 했고 그 동안 손가락을 빨다가 다시 빼는 행동을 보였다.
3회
(3) 3단계 반전단계 (3일)
이 단계에서는 사회적보상과 물질적 보상을 주지 않고 관찰만 하였다.
1일
2일
3일
평균
3회
4회
2회
3회
현우는 습관적으로 손가락 빠는 행동을 했지만 강화를 하기 전보다는 줄어든 모습을 보였다.
(4) 4단계 재강화기간 (3일)
물질적 보상으로 사주기로 약속한 장난감 자동차를 사주기로 하였고 손가락을 빠는 행동을 하긴 했지만 많이 줄어든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를 지속하기 위해 재강화기간을 갖게 되었다.
1일
2일
3일
평균
2회
2회
1회
1.7회
9) 실험결과
<실험과정 동안 손가락 빨기에 대한 행동의 변화>
2주동안의 실험기간 동안 현우의 손가락 빨기 행동은 물질적, 사회적 강화를 이용하여 점차 사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관찰 및 실험을 통해 현우의 손가락 빨기 행동은 취학이 얼마 안남은 누나와 공부를 시작한 엄마의 관심을 받고 싶어서 이 행동이 나타났다고 생각되어진다. 누나, 엄마와 함께 같이 공부를 하거나 옆에서 색칠공부를 하며 엄마의 관심을 받는다고 생각이 되어지면 점차 손가락 빨기 행동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며 이 실험을 마쳤다.
3. 결론
2세 이하의 유아의 손가락 빠는 행동은 자연스러운 것으므로 이 행동에 대해서 무관심하게 반응하는게 좋으며 대부분의 아동의 경우 영구치가 나기 전인 약 5-6세 정도가 되면 자발적으로 손가락빨기 행동이 멈추는데 만약 부모가 이 행동을 문제 삼고 고치려 하려할 때 손톱 물어뜯기, 울화통 터뜨리기와 같은 신경질적인 버릇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인내심을 갖고 혹시 있을지 모르는 아동의 스트레스 원인을 찾아 제거해주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또한 유아가 좋아하는 음식으로 보상을 줄 경우 '구강의 만족감'을 주기 때문에 손가락 빠는 행동을 고치기에 적합하며 먹을 수 있는 음식 중에 손가락에 쓴맛을 내는 것을 발라서 무의식중에 손가락을 입에 넣었을 때 불쾌함을 느끼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만약 손가락 빨기 행동이 취학 후까지 계속된다면 치아의 기형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아동 스스로 그 행동을 고치려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부모가 도와주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명희 「아동행동지도 (이론과 실제)」 교육아카데미
조희숙, 공숙자, 김선옥 「아동생활지도 」 창지사
강문희, 장연집, 박혜원 「아동문제 및 행동수정」 양서원
  • 가격1,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6.03.19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75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