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과제] [Mentor Coaching And Leadership] NOLAN, Mary 저서 [제2장 멘터코칭과 계획]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번역과제] [Mentor Coaching And Leadership] NOLAN, Mary 저서 [제2장 멘터코칭과 계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다. 이 결과를 리더쉽 특성과 관계짓는다.
다음의 모듈은 첫째날 프로그램의 일부 프로그램으로 계획세울 수 있으며 또는 편안한 시간이나 온라인 활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wo-hour module
멘토링의 정의
안내(Handout)
멘토링에 대한 경험 나누기. 멘토링을 받을때 어떤 느낌을 갖았는가? 멘토링을 하면서 삶에 어떤 변화가 있었나? 누군가를 멘토링 했을때의 경험 나누기 멘토링을 할때 어떤 느낌을 받았는가? 프로테제의 삶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가?
Two-hour module
조직의 역할에 대해 조사
관리자를 중심으로 조직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토의
소모둠을 구성하여 멘터코칭을 위해 필요한 3~5가지 전략을 구성해보며, 조직의 나아갈 방향과 같은 비젼을 갖고 나아가야 하는 이유를 살펴보기
Two-hour module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해 이해하기
자기 평가 프로파일을 토대로 멘터코치와 프로테제 각자의 개인적 행동 양식과 활동 양식에 대해 토의하기
멘터코치와 프로테제가 서로 만나 멘토를 하는 목적에 대해 토의하기
Two-hour module
멘터코치와 프로테제가 만나 함께 멘터 계획을 세운 후 관리자에게 설명하기
Two-hour module
평가 절차, 스케줄, 승인 방식(recognition ceremony)을 개발한다.
-----------------------------------------------
요약
본 장에서는 멘터코치/프로테제 프로그램에 도움을 제공할 여러 관점에서 바라본 계획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문단(advisory board)을 활용할 것을 권고한다. 오리엔테이션과 연수에서 자주 활용할 수 있는 주제뿐만 아니라 고려해야 할 여러 항목들을 제시했다. 평가계획을 세우고 평가시 여러 도구를 활용하는 것은 멘터코치 프로그램의 가치를 제시하는데 효과적이다.
* 주요 용어
배치
문헌
능력
모델링 기술
회의 기술
오리엔테이션
코디네이터
미래 가치를 추정한 경비
평가
반성적 실제
전수intiation
자기 평가 기술
법안initiative
책임자
의도
필요한 계획
* 본 장에서 토론할 질문
1. 멘터코치 프로그램에서 계획세우는 것이 왜 중요한지 서술하시오.
2. 멘터코치/프로테제 프로그램의 미래 가치를 위해 어떤 항목(line items)을 활용할 수 있을까?
3. 멘터코치와 프로테제가 활용할 수 있는 연수 주제 3가지를 간략히 설명하시오.
4. 멘터코치 프로그램에서 왜 저널쓰기가 중요하게 활용될까?
5. 평가 도구 3가지에 대해 서술하시오.
6. 어떻게 자문단(advisory board)은 멘터코치 프로그램에 도움을 줄 수 있을까?
* 멘터코치와 프로테제간의 상호작용
멘터코치와 프로테제는 실행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실행 계획에는 최소한 3가지 목적과 목표가 제시되어야 한다. 스케줄과 활용할 수 있는 참고 자료와 언제 다시 만날지에 대해서도 언급되어야 한다.
* 반성적 실제
멘터코치 코디네이터는 조직상 상위 10번째 안에 속하는 관리자에게 설명할 수 있다. 핸드폰이 울리고 관리자가 자리를 떠날 때면 이 자리를 떠나도록 한다. 멘터코치 코디네이터에게 조언할 것은 무엇인가?
* Learning journal
이 장을 읽고 알게 된 내용을 적어보자. 이 내용을 다른 학습에 또는 개인적으로 또는 전문적으로 다른 부분에 적용할 수 있는가? 이 장을 읽고 직접 실제에 적용해 봄으로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나, 제안 활동들에 대해 기술해 보자.
부록 B. Steps to success decision-maker\'s Checklist
p.185
멘터코칭 체계 발달: A planning tool
아래의 체크리스트는 멘터코칭 체계를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중요한 기준을 요약한 것이다. 각 항목은 Decision-Maker\'s Guide의 5가지 주제(표 2-9 p.46 참고)를 근거로 구성하였다. 이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멘터코치 과정을 체크하고 기록할 수 있다.
1. 기초 리터러시 멘터코칭을 위한 모델 선정
의사 결정 항목 수집
멘터링과 관리자에 관한 프로그램 철학 조사
internal program career development system을 바탕으로 멘터코치의 역할에 관한 정책 조사
재원과 구성력 고려
모델 선정
모델의 장점
잠재적 도전
2. 재원(financial resources) 선정
현재 Head Start 예산 중 활용할 수 있는 기금을 탐색
예산 제안 및 ACF 지역 담당 전문가 중심으로 프로그램 수정
ACF 승인
추가적으로 안정적인 기금의 필요성 확인
잠재적 재원을 찾아 안정적 기금으로 연결 지을 계획 수립
3. 멘터코치와의 만남
직업에 대한 설명
멘터코치 적용 과정의 수립
면접 전략의 설계
맨터 코치와 프로테제간의 만남을 위한 범주 개발 및 적용
4. 멘터코치를 위한 연수
멘터코치를 위한 구체적인 오리엔테이션 계획의 수립
멘터코치의 요구에 따른 개별화된 계획 수립
계속적인 멘터코치의 지원을 위한 관리 체계 수립
멘터코치와 프로테제간 협정 개발 및 적용
5. 프로그램 운영 체계와 멘터코칭간의 연결
멘터코치와 관리자간, 멘터코치와 다른 프로그램 담당자와 의사소통 하기 위한 협약 설정
멘터코치와 프로테제 상호간 지켜야 할 기밀(confidentiality) 정의
의사소통 협약에 대한 담당자 연수 실시
기록된 프로그램 계획에 협약을 구체적으로 명시
6. 기록
멘터코치와 프로테제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진행상태를 기록할 문서 형태 계획
멘터코치의 활동을 살펴보기 위한 문서 형태 계획
기록을 계속 작성할 담당자와 멘터코치의 역할 정의
작성된 문서를 완성하고 제출하기 위해 협약과 스케줄 개발
7. 계속적인 모니터 실시
계속 이루어지는 모니터를 통해 멘터코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분석 및 재검토
8. 자기 평가
매년 자기 평가를 통해 수집된 멘터코칭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유형 결정
자료 수집을 위한 절차 및 책임범위 개발
9. 계획
프로그램 계획 체제상 멘터코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분석 및 재검토
계속적으로 quality 향상을 위한 자료 활용 과정의 개발
  • 가격17,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6.03.25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8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