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번역] 11장. 정서 장애 - 단극성과 양극성 [Lynn P. Rehm, Alisha L. Wagner, and Carolyn Ivens-Tyndal]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서번역] 11장. 정서 장애 - 단극성과 양극성 [Lynn P. Rehm, Alisha L. Wagner, and Carolyn Ivens-Tyndal]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l, & Lumrey, 1986; Ivens, 1988; Silverman, Silverman, & Eardley, 1984).
많은 연구 영역들이 일반 인지 이론의 내용들을 지지한다. 그리고 인지이론은 우울증(그리고 일반적으로 정신병리학)에서 인지와 정보 처리의 새로운 영역에서 연구 관심을 증가시키는데 영향력을 끼쳐 왔다. 인지삼제라는 부정적인 편견은 잘 입증되어 있고 인지가 정서에 선행한다는 전제는 논쟁 가능한 가정일지라도 정서를 연구하는데 유용성을 지니고 있다.
자신을 우울하다고 간주하는 부정적인 도식의 발전이 함축하는 바에 대해 자기 지시적 암호화 연구가 공들여 이루어지고 있다. 임시 기억 작업에서 피험자는 또 다른 작업에서 보았던 형용사를 회상하도록 요청받는다. 여기에서 피험자는 형용사를 구조(대문자에 대해 소문자를 확인하기)에 의해 또는 의미론(X와 같은 것을 의미함)에 의해 또는 자기 참조(당신을 기술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거나)에 의해 처리한다. 자기 참조적 형용사가 가장 잘 회상되는데 이는 아마도 자신에 대한 정보 구조가 새로운 정보를 조직하기 위해 자가 발견적으로 기여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우울한 피험자는 보다 부정적인 형용사를 상기하는데 이러한 형용사는 자신에 관한 부정적인 정보의 조직화된 집합(즉 부정적 도식)을 시사한다(Derry & Kuiper, 1981).
정서에 부합하는 회상에 대한 연구(Blaney, 1986)는 부정적인 도식이 우울증에서의 정보처리에 영향을 끼친다는 생각과 일치한다. 현재의 정서는 개인 정보의 회상에 영향을 끼친다. 일반적으로 슬픈 정서는 슬픈 기억의 회상을 고양시키고 행복한 기억을 회상시키는 능력이 보다 적게 한다(Natole & Hantas, 1982; Teasdale, 1983).
관련된 현상이 정서- 상태-의존적 상기에 관련하여 언급되었는데 여기에서 특정 정서 상태에서 학습된 정보가 이후 다른 정서 상태에서보다 같은 정서 상태에서 더 잘 상기되었다(Bower, 1981). 이러한 현상은 믿을만하게 재현하기가 어려웠다. 그리고 Bower가 믿기에는 구성내용이 학습되는 정서상태와 주제가 관련될 때만이 정서 상태 의존적 학습은 일어난다는 것이다(Bower, 1983). 그러한 개념은 Weingartner, Miller, & Murphy(1977)에 의해 조증으로 확장되었다. 그들이 발견한 바로는 대비되는 정서 상태에서 보다 같은 정서 상태에서 낱말 연상의 회상이 보다 좋았다.
우울증의 인지이론에 대해 이러한 발견의 중요성은 이러한 발견들이 Beck의 잠재적 도식 개념에 대한 경험적인 기반을 제공해 준다는 것이다. 정서는 부합되는 회상을 촉진하고 부합하지 않는 회상을 억제하는 부합적 도식을 활성화시킨다. 그러한 도식은 또한 새로운 정보를 조직하고 해석과 추론에 영향을 미친다. Miranda & persons(1986)이 입증한 바로는역기능적 태도 척도(Weissman & Beck, 1978; 안정적, 기질과 같은 기본 가정을 평가한다고 생각됨)는 우울증 경력을 지닌 피험자들에 대해 정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바꿔 말해서 과거에 우울했고 조직화된 우울 도식을 발전시켜 온 피험자들에 대해 현재의 정서는 그 도식을 활성화시키고 그 도식은 질문지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주게 된다.
정서 부합적 상기와 관련된 현상은 우울증과 조증의 인지이론에서의 새로운 발전을 위한 핵심적 자료가 되고 있다(예로서 Ingram, 1984; Rehm & Naus, 1990; Teasdale, 1983). 예를 들면 장기 저장 기억 모델은 우울증에서 발생하는 사고 이동을 개념화하는 대안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의문점은 대안적 잠재적 도식이 활성화되는지 또는 단순히 하나의 도식 체계 내에서 정서가 회복에 악영향을 끼치는지와 관계가 있다.
Beck의 인지이론은 우울증에 대한 인지치료의 개발로 발전되었다(Beck, 1976; Beck, Rush, Shaw, & Emery, 1979). 인지치료는 행동적이고 인지적인 기술의 복잡한 집합체이다. 행동적 인지적 기술들은 목표로서 비현실적 자동적 사고와 기본 가정을 확인하고 그에 도전함을 공유한다. 인지치료는 우울증에서의 개입에 대해 인지행동적 접근법들이 가장 철저하게 연구된 것이다. 인지치료에서의 두 가지 발견은 특별히 주목할 만하다. 첫 번째로 인지치료는 우울증 개선에 있어서 삼환계 항우울제와 동등하거나 우월한 효과를 만든다는 것이다. 둘째로 증거가 사사하는 바는 그 효과가 보다 잘(특히 미래의 우울 삽화를 줄이는데 있어서)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획득된 인지적 기술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보다 적응적인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미래의 삽화를 피하거나 줄이는 것을 돕는다. 인지치료에서의 또 다른 최근의 발전은 양극성 장애로 확장되어 오고 있다(Beck, 1977; Scott, 1996). 인지치료의 확장은 여전히 경험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Beck의 이론은 임상심리학에서 매우 영향력이 있어 왔다. 그것은 우울증을 넘어선 연구와 응용으로 심리치료의 하나의 학파로서 빠르게 발전되어 왔다.
결 론
우울증의 정신병리에 대한 지식적 기반은 최근에 크게 확장되었다. 우리는 우울증의 역학, 유전학, 생화학에 관하여 그리고 우울증의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생리적 증상에 관하여 훨씬 더 많이 알고 있다. 우리는 또한 환경적, 대인 관계적, 심리적으로 우울증에 앞선 것들, 관련된 것들, 그리고 결과들을 보다 많이 알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효과적임이 입증된 약리학적이며 심리학적인 개입법들을 갖고 있다.
이론적 모델의 발전은 우울증에서의 연구를 촉진시키고 방향을 설정해 왔다. 새로운 연구 발견들은 기존 이론을 수정시켜 왔고 새로운 이론과 모델을 발전시켜 왔다. 새로운 이론적 발전이 우리의 사고를 진전시키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해 줄지라도 대부분의 현행 우울증 이론들은 특정 영역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고 기껏해야 한 두 차원을 통합하는 정도라는 것도 지적되어야 한다. 미래의 연구와 이론은 보다 폭넓은 견해를 갖고 생물학적, 환경적, 심리적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진정한 생물심리사회적 모델로 만들어 갈 필요가 있다.
  • 가격16,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6.03.26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86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