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화학요법과 간호(항암화학요법의 목적,항암화학요법의 치료기간과 횟수, 항암제의 분류, 항암제 투여의 일반적인 원칙,항암제의 정맥투여,항암제의 경구 투여, 항암화학요법과 간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항암화학요법과 간호(항암화학요법의 목적,항암화학요법의 치료기간과 횟수, 항암제의 분류, 항암제 투여의 일반적인 원칙,항암제의 정맥투여,항암제의 경구 투여, 항암화학요법과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항암화학요법의 목적
2. 항암화학요법의 치료기간과 횟수
3. 항암제의 분류
4. 항암제 투여의 일반적인 원칙
5. 항암제의 정맥투여
6. 항암제의 경구 투여
7. 항암화학요법과 간호
8. 간호진단
9. 간호중재
-참고문헌

본문내용

-CSF(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투여한다.
G-CSF는 골수세포로부터 호중구성 과립구 콜로니의 생성을 촉진하고 최종 단계로의 분화를 유도하며, 백혈병 세포주가 스스로 복제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는 당단백질로서 단핵세포, 섬유아세포와 내피세포에서 생성됩니다.
G-CSF는 암 치료용 백혈구(호중구) 증강제로 함암제 투여 시 생기는 백혈구 감소 현상을 완화시키는 전문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다.
(2) 혈소판 감소(thrombocytopenia)
Megakaryocytes의 억압이 원인이다.
출혈증상을 사정한다. (구강출혈, epistaxis, petechia, vaginal bleeding, 두개내 출혈 의식저하)
PLT 수치가 10,000/ mm3 이하일 때 생명의 위협이 있다.
PLT 수치가 20,000/ mm3 이하 또는 출혈 증상이 있는 경우 혈소판을 수혈함.
PLT 수치가 50,000/ mm3 이하일 때 출혈의 위험이 나타난다.
Foley catheter insertion 시 작은 사이즈 사용함.
예방적으로 변 완화제 투여하고, 부딪히거나, 날카로운 물건사용 제한하여 손상 받지 않도록 교육한다.
스테로이드 복용 시 식사와 함께 투여함.
4) 일혈 (extravasation)
항암제 주입을 즉시 중단함.
정맥주사 캐뉼라는 제거 하지 않고 그대로 둔 상태로, 주사기를 이용하여 남아있는 항암제와 혈액을 흡인함.
바늘을 제거하고 주사부위를 드레싱함.
주치의에게 보고하고 antidote 사용을 고려함.
냉찜질 또는 온찜질을 적용함.
48시간 정도 일혈 부위를 elevation 시킨 후, 주사부위의 기능, 움직임 정도, 통증, 궤양, 발적, necrosis 정도를 지속적으로 관찰함
8. 간호진단
1) 호중구 감소증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2) 혈소판 감소증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3) 빈혈과 관련된 피로
4) 원형탈모증 및 체중감소와 관련된 신체상의 변화
5) 치료의 부작용과 관련된 영양부족
9. 간호중재
1) 호중구 감소증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 감염예방 : 활력징후를 4시간 마다 측정한다. 체온이 상승하거나 오한이 있는 경우 보고한다.
- 개인 위생습관을 강화한다.
- 전염성 질환자와의 접촉을 피한다.
- 폐 정체를 감소시키기 위해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한다.
- 직장체온, 관장, 장기간의 배뇨관 삽입 같은 침습적인 절차를 행하는 것을 피한다.
- 백혈구와 분화 정도를 감시한다.
- 감염과 대항할 수 있는 백혈구 수를 파악하기 위해 절대 중성구 수(ANC)를 계산한다.
전체 백혈구수 x ( %polys + %bands) = 절대 중성구 수
-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하고(백혈구가 500이하인 경우), 중성구 성숙을 촉진하기 위해 화학치료의 후속과정으로 군집(colony)자극 요인을 성장시킨다.
2) 혈소판 감소증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 혈소판수가 50,000/mm3 이하인 경우 근육 주사나 좌약사용, 관장과 유치도뇨관 삽입과 같은 침습적 절차의 수행을 피한다.
- 혈소판 수를 측정하고 처방된 혈소판을 투여 한다.
- 모든 소변 및 대변검사를 실시하고 구토물의 혈액 유무를 관찰한다.
- 환자교육을 실시한다. (면도날이나 손톱깎기, 질 세척이나 좌약을 금지한다. 치과치료를 피하도록 한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제, 아스피린, 아스피린 함유 약품을 피하도록 한다. 혈소판이 50,000/mm3이하인 경우 성생활을 피하도록 한다.)
3) 빈혈과 관련된 피로
- 혈구 수(hemoglobin 과 hematocrit)를 검사한다.
- 처방된 혈액제제를 투여한다.
- 환자교육을 실시한다.(호흡곤란과 피로 발생 원인을 설명한다, 환자가 신체적으로 과다 활동하는 것에 주의를 준다. 자주 휴식하도록 격려한다.)
- 영양 상태를 감시한다.
- 피부색을 관찰한다.
4) 원형탈모증 및 체중감소와 관련된 신체상의 변화
- 머리카락이 다시 자랄 것이라는 확신을 준다. 색이나 머릿결이 전과는 다르게 자랄 수 있다.
- 모발이 상실되기 전에 환자가 좋아하는 가발 또는 스카프를 쓸것을 제안한다.
- 환자가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 환자를 정직하게 대한다.
5) 치료의 부작용과 관련된 영양부족
- 항암제를 투여하기 전에 진토제를 투여한다. 심하거나 중등도의 구토를 유발하는 항암제 치료 시, PRN보다는 규칙적으로 약물을 투여한다.
- 진토제를 병용하는 것이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효과적임을 알려준다.
- 심한 구토유발 항암제의 경우 5Ht3 억제제(Zofran, kytril)와 dexamethasone을 미리투여한다. Metoclopramide(reglan), droperidol, prochlorperazine(Compazine), dexamethasone 또는 lorezapam(Ativan)을 prn으로 투여한다.
- 중등도의 구토유발 항암제의 경우 droperidol 이나 dexamethasone을 metoclopramide와 함께 또는 diphenhydramine(Benadryl)을 미리 투여한다. Prochlorperazine(Compazine)또는 lorezapam(Ativan) 을 prn으로 투여한다. 실패할경우 5Ht3 억제제(Zofran, kytril)을 투여한다.
- 경한 구토유발 항암제의 경우 경구용 prochlorperazine(Compazine)의 사용이 고려된다.
- 지연된 오심과 구토는 급성 예방적 진토제 치료 8시간 후에 발생되며 24~36시간 까지 지속되고, dexamethasone에 diphenhydramine 또는 haloperidol(Haldol) 또는 prochlorperazine 또는 loazepam 과 함께 metoclopramide 를 투여 한다.
- 환자의 기호식품을 고려하여 소량씩 자주 식사를 제공한다.
- 고열량과 단백질 식이를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필요시 고단백 보충제를 투여한다.
- 뜨거운 음식은 메스꺼운 느낌을 자극하므로 상온 또는 차게 해서 먹는 음식을 선택한다.
- 변비를 예방하기 위해 수분섭취를 장려한다.
- 구토를 포함한 섭취량과 배설량을 체크한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6.03.31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91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