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불전과 명부전 연구 | 2010
조선시대 사찰건축의 천장형태와 위계성 연구 | 2010
우리불교문화유산 읽기 | 두리미디어 | 2004
사찰건축의 민간신앙적 요소에 관한 연구 | 2003
조선시대 사찰건축의 천장형태와 위계성 연구 | 2010
한국건축의 역사 |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7.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불전으로 향하는 중앙 진입로를 유지하면서 여기에 각각의 장소를 연결하는 보조동선이 접속되어 사찰내부를 회유하는 동선체계로 전적으로는 직선형(참배객) + 환형(거주자)의 동선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2. 무량수전
무량수전은 부석사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4.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불로 한 그림이 법당 안에서 법당을 수호하는 성격의 신으로 봉안되기 시작한다. 남아있는 제석천도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것은 고려시대의 것이고, 조선이 건국된 후에도 끊임없이 그 형태가 변화하면서 그려져 왔다. 고려시대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4.09.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불전으로 아미타여래를 모신 전각이다. 아미타여래는 끝없는 지혜와 무한한 생명을 지녔으므로 무량수불로도 불리는데 \'무량수\'라는 말은 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부석사의 주불전으로 아미타여래를 모신 전각이다. 아미타여래는 끝없는
|
- 페이지 7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불전인 대웅전을 시각적으로 더욱 강조하게 된다.
결말부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형성된 공간을 말한다. 이 공간은 일반적으로 주불전을 중심으로 하여 사면이 석축이나 건물로 둘러싸인 것이 특징으로 전개부와는 구별되는 기단위에 결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03.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