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동선언을 고수
(2) 군사적 적대관계를 종식, 긴장완화와 평화를 보장
(3) 현 정전체제를 종식시키고 항구적인 평화체제를 구축
(4) 경제협력사업을 공리공영과 유무상통의 원칙에서 활성화
7. 기타
1) 남북한 통일방안 비교 : 통일철학, 통일원
|
- 페이지 90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4.01.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경협합의서의 발효를 위해 필요한 국내절차가 남북한에서 공히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남북경협의 제도화 및 활성화를 기다리고 있는 많은 기업인들을 크게 실망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형후 남북교류협력이 제도화의 단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외교정책, 북방학회포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2002), 대북정책 4년 : 평가와 전망, 향후 과제, 서울 : 철도인쇄공사, 2002
이문석(1993), 남북한 통일정책 비교와 한국의 통일정책 발전방향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
이찬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한간의 협력사업 추진에 소극적인 자세를 견지하고 있는 북한을 협력하는 터전으로 이끄는 것은 합영농장 운영의 중요한 목적중 하나이다. 따라서 시범농장 경영의 결과로 발생하는 과실이 농장에 종사하는 농민과 현지주민에게 충분히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한 군사적 신뢰 구축의 실천
남과 북은 1991년 12월 남북기본합의서를 채택해 불가침 및 군사적 긴장 완화에 합의한 바 있다. 여기서 "현 정전 상태를 남북 간 평화 상태로 전환"하며 남북군사공동위원회를 구성·운영할 것을 규정했으며, 19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19.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경협 및 북한경제 발전을 위한 청사진 마련 (장기 과제)
가. 장기적, 거시적 관점에서 남북경협과 북한경제 발전을 위한 로드맵 구상
나. 북한측과 가칭 '남북경제발전위원회'를 구성, 남북한의 공동 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마련하여 인프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협력시대 러시아 극동지역 북한 노동력의 상황과 정책과제: 중국 노동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6·15 남북공동선언과 한민족 발전전략』, 한국동북아학회 국제학술회의, 2001.
이종훈, "중앙아시아 한인들의 연해주 재이주 현황과 과제,"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3.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한이 대치해 있는 상황에서 긴장완화라는 세계사적 흐름의 중심에 위치해 있다(삼성경제연구소, 2002). 이러한 상황에서 동북아 지역에서 韓中 교역의 확대, 北日 수교협상 개시, 남북한의 상호협력과 지원강화 등을 통한 교역량이 지속적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수출액이 7.3억 달러, 명목 GNI(Gross National Income, 국민총소득)가 170억 달러임을 감안할 때 개성공단은 북한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남북한 경제교류협력의 제도화를 위한 노력도 진행되어 2003년 8월 투자보장, 이중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드컵 16강, 코로나정상화, 국제무역수지 적자지속 시대별 한국사연표
1. 선사시대(약70만년~B.C57년)
2. 삼국시대(B.C57년~676년)
3. 통일신라시대(676년~900년)
4. 후삼국시대(900년~936년)
5. 고려시대(936년~1392년)
6. 조선시대(1392년~1897년)
7. 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3.07.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