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험 2와 실험 5-(b)의 결과를 보면 다른 실험들에 비해 오차값이 조금 더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조교님께서 IC회로 자체 내부의 부하로 인한 전압 강하라고 한다. IC회로 역시 앞서 실험1. 디지털 논리소자에서 사용한 재료들처럼 처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7.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이었다. 래치는 Clock 신호가 Low 에서 High 가 될 때 래치된다. 회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7432 소자의 출력값이 두 번째 입력으로 들어가 다시 값을 출력시키고, 이 값이 다시 두 번째 입력으로 들어가 출력을 하는 방식의 회로이다. 결과 값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7.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은 트랜지스터와 다이오드를 이용해 디지털 논리소자의 기본 회로를 구성하여 값을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모든 실험의 값들이 시뮬레이션이나 흔히 알려진 진리표대로 값이 비슷하게 나와 전체적으로 만족스러운 실험이었다. 모든 결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7.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각해 볼 수 있다. 세 번째 이유로는 저항들끼리 겹쳐져서 합선되는 경우였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나중에 해결을 하였지만, 그래도 결과가 제대로 나오진 않았다. 네 번째 이유로는 7-Segment LED 장치의 자체적인 문제로 볼 수 있는데, 이번 실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7.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되었을 수도 있었을 텐데 라는 생각이 많이 드는 설계였다. 결과가 제대로 나오지 않고, 시간도 너무 부족했던, 그리고 여러 가지가 아쉬웠던 설계였으므로, 다음 설계(뿐만 아니라 다음 실험들도)부터는 최대한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오기 위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7.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을 할 때 어느 정도 숙지했던 내용이었기 때문에 설계 과정에서는 큰 어려움이 없었다.
결과를 보면 이번 설계도 큰 오차 값은 발생하지 않았다. 값을 측정하는 게 아니라 파형을 도출해내는 것이기 때문에 오차를 많이 줄일 수 있었다고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7.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을 했었더라면, 이 정도로 실패하는 설계가 아니었을 것이다. 결과가 제대로 나오지 않고, 시간도 너무 부족했던, 그리고 여러 가지가 아쉬웠던 설계였으므로, 다음 설계(뿐만 아니라 다음 실험들도)부터는 최대한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오기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7.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결과 분석
모터제어회로
- 실험 결과 센서를 통한 입력이 들어와 모터가 정방향으로 도는 것을 확인하고 리밋스위치를 눌렀을 때 회전이 멈추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런 후 다음 광센서가 들어오면 역회전을 하고 역회전 하는 것을 확인
|
- 페이지 3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4.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번 실험은 2장 일반 논리 게이트 응용 실험과 함께 진행 하였는데 앞 장의 결과 보고서에도 기술했듯이 처음에 브레드보드를 다루는 것과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익숙지 않아서 여러 개의 회로를 구성하고 빼고 했어야 해서 시간이 상당히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1.01.07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올라가거나 내려가거나를 반복하는 동작을 한다. 동기식이므로 클락 펄스를 가해져서 에지 트리거 일 때 상태가 변하도록 하였고 10진수로 표현했을 때 0부터 15까지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실험 결과 및 검토
◈ 나의 고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1.01.07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