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적벽가' 의 완창 능력을 인정 받아 중요무형문화재(인간문화재) 제5호 판소리 적벽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고, 같은해
국립창극단
단장으로 임명되었다. 1984년에서 1986년에 걸쳐 강릉해화전,
무숙이타령
, 궁가, 옹고집전, 장끼타령 등을 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4.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소리의 열 두 마당
판소리 열 두 마당이란 송만재의 『관우희』에 언급돤 <춘향가>, <심청가>, <박타령(=흥보가)>, <토끼타령(=수궁가)>, <화룡도(=적벽가)>, <배비장전>, <옹고집전>, <변강쇠타령>, <장끼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소리 12마당으로는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 타령, 배비장 타령
강릉 매화전, 옹고집전, 장끼 타령, 무숙이 타령, 숙영낭자 타령이 있다. 송만재의 '관우회'에서는 '무숙이 타령'과 '숙영낭자 타령' 대신에 '왈자 타령'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5.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소리가 불려졌음이 기록되어 있으나 오늘날까지 전해오는 것은 다섯마당이다.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강릉매화타령, 가루지기타령(변강쇠타령), 장끼타령, 옹고집타령, 배비장전, 무숙이타령, 가짜신선타령 등이 있으며,
|
- 페이지 5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6.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타령》 《화용도(華容道)》 《강릉매화타령》 《무숙(武淑)이타령》 《숙영낭자전(淑英娘子傳)》 등 판소리 열두 마당은 고종 때 신재효(申在孝)에 의해 《춘향가》 《심청가》 《박타령》 《토끼타령》 《가루지기타령》 《적벽가(화용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