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창, 산청, 함양 등에 출몰하여 보급품을 착취해 가고, 군경에 기습을 가하는 등 치안이 매우 불안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1950년 10월 3군단이 창설되었으며, 제11사단은 3군단에 배속되어 후방 공비토벌 작전을 수행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9.1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전쟁과 함평 양민 학살』, 사회 문화원, 2001
▶ 김기진 『끝나지 않은 전쟁 국민 보도연맹』, 역사비평사, 2002
▶ 김동춘 『전쟁과 사회』,돌베개, 2002
▶ 한국전쟁 전 후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 범 국민위원회『다 죽여라, 다 쓸어버려라』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쟁 동안 거창, 함양 등지에서 일어난 “양민 학살 사건”은 전쟁의 참혹함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전쟁은 분단 상태를 더욱 확고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뒤 남북한 정권이 서로 체제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전쟁이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8.08.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쟁 중에 사망하였고, 전체 참전국의 사망자를 모두 합하면 200만 명에 달한다고 한다. 한국의 사망자는 백만 명이 넘으며 그중 85%는 민간인이다. 또한 미군에 의해 피난민들이 학살당한 노근리 학살사건, 거창주민들이 인민군 부역자로 몰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쟁사상자 외에도 한국군과 경찰에 의한 보도연맹학살사건·거창양민학살사건 같은 집단적 민간인 학살이 저질러졌다. 남한의 인적 손실은 모두 230만여 명에 달하였고, 북한의 인적 손실은 292만여 명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유엔군의 인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7.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