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조의 3대부가 예겸하도록 하며, 그밖에 중대부와 하대부 한 사람씩 사리를 환하게 아는 사람을 엄선하여 부공을 고르게 하는 것이 마땅하다.
판적사 정약용저, 경세유표Ⅰ, 한길사출판사, p114-115
: 제조 경 1인. 판관 상사 1인. 주부 중사 2인
|
- 페이지 97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1.08.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세유표(經世遺表)] 48권은 이·호·예·병·형·공의 육전체제로 기술된 [주례(周禮)]와 [경국대전]의 체제를 본받아 천관이조(天官吏曹), 지관호조(地官戶曹), 춘관예조(春官禮曹), 하관병조(夏官兵曹), 추관형조(秋官刑曹), 동관공조(冬官工曹)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세유표를 중심으로.” 「한국사학보」p.61-65
김성현, (2006), “다산의 경학사상에 나타난 조직이론의 현대적 의미연구”, 한국행정학회보 pp.9-12
송하중, (2006), “다산의 인사행정개혁에 대한 이해”,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p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세유표 목민심서 흠흠신서 및 전론 탕론
여전론 : 지주-전호제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던 당시의 사회경제체제를 철저하게 부정하는 농민위주의 토지개혁론. 여전제의 기본원리는 전국에 자연 촌락을 기초로 하여 30호를 1단위로 하는 閭
|
- 페이지 8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세유표(經世遺表)》 《흠흠신서(欽欽新書)》 《마과회통(麻科會通)》 《모시강의(毛詩講義)》 《매씨서평(梅氏書平)》 《상서고훈(尙書古訓)》 《상서지원록(尙書知遠錄)》 《상례사전(喪禮四箋)》 《사례가식(四禮家式)》 《악서고존(樂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