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덕수궁(德壽宮)의 뜻에 대하여
현재 사적 제124호로 지정
덕수궁 (德壽宮)이라는 이름은 상왕이 은거하는 궁궐이란 뜻의 일반적인 이름이며 궁궐 고유의 이름이 아님
경운궁(慶運宮)이라는 이름은 광해군 3년 (1611년) 당시 시어소 또는 정릉
|
- 페이지 40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4.03.17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운궁,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0
제성호 - 국가상징에 관한 법률 제정의 타당성, 법조협회, 2009
조성관 - 국가상징거리 보면 그 나라가 보인다 : 광화문광장엔 \'대한민국\'이 없다, 조선뉴스프레스, 2011
최종고 - 남북한의 국가상징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운궁의 양관들」,『서울학연구』, 제40호, p. 14
또 다른 건축물 중 하나는‘돈덕전’이다. 현재 소실되어 형태가 남아있지 않지만, 기록에 의하면 돈덕전 역시 외국사신의 알현이나 연회소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위 논문, p. 6
하지만 소실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2.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울 경기도』( 신정일, 다음생각, 2012)
-『서울의 문화재』(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경인문화사, 2011)
- 『한국근현대사사전』 (한국사사전편찬회, 가람기획 , 2005)
- 문화재청 www.cha.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 한국학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8.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울의 방사상 도로 체계는 당시 새로 짓는 경운궁(현재의 덕수궁)을 그 기준 건물로 삼은 것이 특징이다. 이태진, 동경대생들에게 들려준 한국사, 147~151면.
탑골공원도 도시개조사업의 일환으로 만들어졌다. 이 공원자리에는 원래 원각사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