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의 원, 도서출판조경
한국고대사학회(1997) - 한국고대사연구, 서울 : 서경문화사 Ⅰ. 개요
Ⅱ. 경주 포석정과 문헌자료
Ⅲ. 경주 포석정과 유상곡수
Ⅳ. 경주 포석정과 어무상심무
Ⅴ. 경주 포석정의 연회장 설
참고문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상곡수연을 하기 전 계욕을 위한 목욕장소로 추정된다. 음력 3월3일에 계욕을 한 후 유상곡수연을 펼친 포석정에는 정자가 들어가 있는 그 이름을 보면 반드시 정자가 있었다고 보여진다. 중국에 남아 있는 유배정을 보면 모두 정자속에 곡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7.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태, 잔 속에 담긴 술의 양에 따라 잔이 흐르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다고 한다.
유상곡수연은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있었으나, 오늘날 그 자취가 남아있는 곳은 경주 포석정 뿐으로, 당시 사람들의 풍류와 기상을 엿볼 수 있는 장소이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곡수연을 즐기던 곳으로 왕희지의 난정고사를 본 딴 지배층
유락공간
3) 만불산
- 경덕왕이 가산을 축조한 것
<결론>
한국식 조경은 문헌상으로 기록이 될 만큼 많지 않아 조경의 역사적 고찰이 어렵다.
그러나 다른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곡수당의 이름은 진나라 왕희지가 난정에서 문인들과 함께 술잔을 물 위에 띄워놓고 시를 짓고 즐긴, 이른바 유상곡수연과 관련이 있다. 실제로 윤선도가 이 곡수당 곁에서 유상곡수연을 즐겼다는 기록이 있다. 곡수당 난간에 걸어놓았다는
|
- 페이지 72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