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의 다양성
III. 주택의 종류
1) 북경의 사합원
2) 휘주의 민가
3) 황토고원의 동굴주택 요동
4) 복건성 객가인의 토루
5) 강남의 수향 민가
6) 운남성의 일과인 (一顆印) 과 삼방일조벽 (三坊一照壁)주택
7) 화남의 고상식 주택
8) 화남
|
- 페이지 4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6.08.1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택의 형태는 이러한 강수향이 많고 고온다습한 것을 보완하기 위해 발달하여 왔다. 땅위의 집은 바닥을 6-8feet 가량 높게 하여 밑으로부터 공기를 통하고 어린이 들이 집 아래 공간에서 놀기도 하며 여기에서 가축을 기르기도 하며, 관목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택에 전파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신 라 기후가 따뜻한 지방이므로 상류주택은 고구려와 같은 평상위에서 생활하였을 것이며 일반 주택은 보통 흙바닥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신라의 주택은 고상식 마루구조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또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2.25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택사정-평균27평(90제곱미터), 주택보급율 100%넘음
전통가옥의 특징-종이, 나무로 지음(해양성 기후와 지진의 영향, 화재에 취약)
-일종의 고상식 주택(바닥으로부터 습기 방지)
전통가옥 용어-란마(방과 방사이 윗부분 통풍 채광 목적으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0.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상식 주택
① 습기 방지
② 지면보다 2∼30cm 높은 방바닥
3) 일본 가옥
※ 란마
(1) 방과 방의 경계 윗 부분에 통풍·채광을 목적으로 설치
(2) 격자나 틈이 보이도록 성기게 생긴 장식
※ 도코노마
(1) 방 벽면에 족자와 꽃꽂이를 장식하는 곳(중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