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각은 왼쪽 윗가슴이나, 어깨 그리고 왼쪽 겨드랑이와 팔 및 다섯째 손가락에 방사하여 통증을 느낄 때가 있는데, 이것은 심장이나 횡격막에서 일어난 통각자극이 각각 상박이나 어깨 부위에 투사된 것이다. 1. 심부감각
2. 내장감각
1)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말
⑵ 심부감각
팔, 다리 등의 근육과 관절의 위치나 움직이는 방향 및 속도 등을 감지하는 감각
심부감각은 근육, 인대 및 관절에 있는 수용기에서 일어나는 흥분이 중추신경계로 전달됨으로써 감지됨
심부감각 수용기를 고유수용기라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경병중성 통증, 말초나 중추 신경의 손상이나 기능이상으로 야기되는 통증
피부를 예리한 바늘로 찌르면 매우 짧은 기간 지속되는 예리한 통각이 유발되는데, 자극 후 0.1초 내에 일어나기 때문에 1차 통각, 초기통각, 급성 통각 혹은 예통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각을 감수하는 영역은 중심후회로 체성감각과 혼재한다. 내장통각은 내장-체성반사에 의하여 근육성 방어와 관련통을 일으킨다. 1. 피부의 특징
2. 피부의 구조
3. 피부의 기능
4. 피부의 색깔
5. 피부감각의 종류
6. 피부감각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경섬유, 골격근 운동신경섬유
15
100
Aβ
피부촉각과 압각 구심신경섬유
8
50
A
근방추를 지배하는 운동신경섬유
5
20
Aδ
피부 온도감각과 통각 구심신경섬유
3
15
B
교감신경 절전섬유
3
7
C
피부통각 구심신경섬유, 교감신경 절후섬유
0.5
1
- 랑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2.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