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즉 [α][]변태하는 점이며 911℃이다.
GS : 고용체에서 고용체가 석출하기 시작하는 온도를 연결한 선으로, A3변태선이라고 한다.
GP : 0.02wt%C 이하의 합금에서 고용체에서 고용체가 석출완료하는 온도를 연결한 선이다.
K : 시멘타이트의 공석점,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서 항온변태시킬 때 유지시간에 따른 조직의 변화를 보면, 소정의 잠복기가 지난 후에 생성된 펄라이트 colony 의 핵이 이웃한 핵에서 성장하는 콜로니와 만날 때까지 계속 성장해간다.
A1 변태온도 직하에서 핵생성속도는 작고 핵성장속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철강 재료의 분류 ◉
〔1〕 강에서의 특수원소의 작용
(1) 오스테나이트 형성원소
( 2 ) 페라이트형원소
( 3 ) 탄화물형성원소
( 4 ) 입자생성에 미치는 효과
( 5 ) 공석점에 미치는 효과
( 6 )마르텐사이트 생성온도에 미치는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다.
3-3 공석반응(Eutectoid reaction)
723℃, 탄소 고용도가 0.02~6.67%에서 공석 반응이 일어난다. 이 지점에서
고상 S(γ-고용체) 고상 P(α-고용체) + 고상 K(Fe3C)
와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탄소 고용량이 0.8%인 지점을 공석점이라 한다.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3.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석점 (0.77%C, 727 )
PSK
:
공석선, 이 온도에서 오스테나이트(S) 페라이트(P) + Fe3
C(K)의 반응에 의해 펄라이트를 만든다. A1선(727 )이라고 부른다.
GP
:
오스테나이트로부터 페라이트로의 변태가 종료되는 온도.
P
:
철에 고용하는 탄소의 최대고용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