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곽향은 곽란 복통으로 죽으려고 함에 귤피와 함께 달여 복용한다. 여름철에 정향, 활석가루와 함께 복용한다.
木香
목향
(亂轉筋,爲末酒服。)
목향은 곽란 전근에 가루내어 술로 복용한다.
香附子
향부자
附子
부자
(亂吐下,爲末四錢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관하는 약이다.
兼入衝脈,開鬱氣,消痰食,散風寒,行血氣,止諸痛。
향부자는 겸하여 충맥에 들어가서 울체한 기를 열고 담식을 소멸하며 풍한을 발산하며 혈기를 운해 봉아출 형삼릉 향부 말리화 배초향 곽향 훈향 난향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황과채는 결체된 기를 소통케 한다.
〔果木〕
과목
杏仁
행인
(下結氣,同桂枝、橘皮、訶黎勒 丸服。)
행인은 결기를 내린다. 행인은 계지, 귤피, 가리륵과 함께 환제로 복용한다.
靑橘皮
청귤피
(疏肝 散滯,同茴香、甘草 末服。)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곽향, 초두구, 오수유, 사인을 가미한다.
氣、痰면,加木香、枳殼、南星하라;
기성 비증 담성 비증이면 목향, 지각, 남성을 가미한다.
中虛면,加參、朮、香附、砂仁하라;
중초 허약하면 인삼, 백출, 향부자, 사인을 가미한다.
瘀血이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곽향정기산 등을 증상에 따라 분류해 투여한다.
2. 소양인의 화병
워낙 급한 성격으로 한 번 화나면 겉잡을 수 없이 울화가 끓어올라 가슴에 손을 얹을 수 없을 정도로 흉통·심하통이 생기며 혹은 물도 마시지 못하고 토하게 된다.
치료법: 형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