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라쓰고)
饗 (또 特垂保佑를 지운다)
4. 合葬時 舊墓告辭
▶父의 舊墓에 母를 合葬할때(葬日 前日에 告한다)
維歲次 干支某月干支朔某日干支 孤哀子 ○○
敢昭告于
顯考處士(學生)府君之墓
今以 先女比 孺人 ○○○氏 將於(干支) ○月○日
|
- 페이지 5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5) 독축(讀祝)
6) 아현(亞獻)
7) 종헌(終獻)
8) 첨작(添酌)
9) 삽시정저(揷匙正著)
10) 유식(侑食)
11) 합문(闔門)
12) 헌다(獻茶)
13) 철시복반(撤匙覆飯)
14) 사신(辭神)
15) 철상(撤床)
16) 음복(飮福)
Ⅴ. 북한의 관혼상제 사례
참고문헌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8.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혼상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장철수,1995.『한국의 관혼상제』 집문당
장철수,1995.『옛무덤의 사회사』 웅진출판사 Ⅰ. 서 론
Ⅱ. 본 론
1. 3과 한국인의 삶
2. 삶의 문화적 의미
3. 생활양식 및 일상생활의 변화와 분화
4. 통과의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700원
- 등록일 2008.08.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혼상제\'의 생활 의례를 철저히 지키도록 교육해 왔으며 이런 까닭으로 유교적 양식은 지금도 우리의 의식은 물론, 생활 세계 곳곳에 뿌리깊게 자리하고 있다.
(2) 장묘 문화의 현 주소
유교적 전통에 기초한 한국 사회는 묘소라는 상징적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8.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혼상제, 서울 : 전원문화사, 2002.
이재식, 권호, 전통예절과 윤리, 서울 : 시간의 물레, 2003.
이범직, 김기흥, 전통문화란 무엇인가, 서울 :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0.
김경자(2005). 전통생활문화와 혼례의 실제. 한국가정과학회지.
김소은(2006). 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1.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