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개음화의 발생원인
1. 중세국어시기 ‘ㅈ’의 조음위치
1.1. 경구개음이 아닌 근거
1.2. 치경음인 근거
2. 치음의 구개음화
2.1. ㅈ구개음화
2.2. 치음 내에서의 변화
3) 구개음화의 발생과 전파
1. 구개음화 발생 시기
1.1. 발생 시기에 대한 선행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4.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사 보고된 각 지역 방언의 ‘ㅈ’의 이음 및 구개음화 현상의 有無는 다음과 같다(모음간의 이음 [dz]와 []는 제시하지 않는다).
방언권 ‘ㅈ’의 음성실현 구개음화
평안방언 /ts/([ts]) 없음
황해방언 /ts/([ts], []) h-, t
육진방언(20세기 초) /ts/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어의 ‘education[에두케이션]’을 [에주케이션]으로, ‘do you’를 빨리 발음할 경우 [쥬] 등으로 발음하는 것들이 그것이다.
참고: 구개음화에 대해서는 이병건 (1977)을 참조할 것.
구개음화의 시기에 대하여는 안병희(1957), 이기문(1972a)를 참조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개음화
2) 된소리되기
3) 거센소리되기
4) ‘?’의 탈락
5) ‘?’의 탈락
2. 모음의 특징
1) 움라우트
2) 음절 축약
3) 단모음화
4) 길이
3. 낱말 형성
1) 명사 파생 접미사
2) 사동 또는 강세 접미사
3) 형용사 파생 접미사
4. 부사 파생 접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8.07.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한 형태 규범적 지식이 필요하다. 즉 모음 어미를 만날 때 단어의 기본형 표기가 결정된다는 점을 밝혀 주어야 한다. ‘옷[ 1. 문법 교육의 근거론
2. 문법 교육 변천사와 최근의 동향
3. 문법 표준화와 다양화의 방향과 과제
4. 문법
|
- 페이지 3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