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총생산의 측정
1. 생산접근방법과 국내총생산
2. 지출접근방법과 국내총지출
3. 소득접근방법과 국내총소득
*GDP 삼면등가의 원칙
II. GDP 외의 국민소득지표
1.국내총생산(GNP)
2. 국민순생산(net national product : NNP)
3. 총산출(gross output)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내총투자 = 민간저축 + 정부저축 + 해외저축
경상수지와 자본수지
오차 및 누락의 크기가 0 이고 중앙은행의 준비자산변화도 없다면 경상수지와 자본수지의 합계는 0 이다.
경상수지 = - 자본수지
국제수지의 조정
금본위제도하에서의 국제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
(iii) 생산성향상 지표로 (i)과 (ii)사이의 residual을 사용
(iv) 민간부문 국내신용/GDP
(iv) 국내총투자/GDP
- 각 금융지표들은 각 성장지표와 99%의 신뢰수준에서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음
- 평균 1인당 소득증가율을 기준으로 4개 그룹으
|
- 페이지 6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내총투자율의 기간별 비교
(%, %p)
1986~89(A)
2002~05(B)
차이(B-A)
경상수지/GDP
5.4
2.2
-3.1
저축-투자
6.7
3.1
-3.6
총저축률
37.8
33.0
-4.8
(민간)
31.0
22.0
-9.0
ㆍ비금융법인기업
12.3
12.8
0.6
ㆍ금융기관
1.8
2.9
1.1
ㆍ개인
17.0
6.3
-10.7
(정부)
6.8
10.9
4.2
국내총투자
|
- 페이지 4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내적으로는 수출증대에 따라 경상수지가 흑자를 나타내기 시작하였고, 경제활동도 크게 호전되어 고도성장을 이룩하였다. 이러한 수출증대 및 경제의 팽창은 국내저축율을 총투자율보다 높게 만들어 투자재원의 자립화를 이루도록 하였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