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반도 통일의 국제정치와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국제정치논총』 제 37집 3호 (1998).
<표 3> 미래 동아시아 질서가 통일과정에 미칠 영향
현상유지 공존
유도형
자멸형
충돌형
Base Case
소요시기
*****
****
***
**
가능성
*
***
***
*
폭력성
*
*
***
|
|
![]() |
한반도통일 4대국 시각」, 『경향신문』, 1996년 10월 8일(50).
「한승주 외무장관과의 대담; 이광요 싱가포르 전총리 '21세기 아시아 진단'」, 『동아일보』, 1995. 5.31.(5). Ⅰ. 서론
Ⅱ. 본론
1. 동북아 질서의 변화
1) 신국제질서의 전
|
|
![]() |
한반도 문제는 주체인 남북한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그리고 남북한 중에서도 북미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며 북미정상회담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남한이 더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난 이명박, 박근혜 정부 기
|
|
![]() |
한반도통일이 내포하는 대변화보다는 분단의 안정적 관리라는 현상유지적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소련의 해체와 뒤이은 미소간 대규모 군축협상등과 같은 동북아 국제질서의 변화는 한반도 통일을 위한 긍정적인 외적환경을 마련해 줄 것
미국, 미국의 입장에서..,
|
|
![]() |
통일전선전략’ : 80년 이후 핵심전략
4. 협상전략과 연방제
5. 남북대화의 이원화정책
6. 북한이 표방하는 ‘민족주의
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정부)의 장기집권
1. 장기집권은 필히 독재로 이어진다
2. 후계자 문제, 어떻게 볼
|
|
가격 :
할인가 : 23,000원(36페이지)
|
가격 :
할인가 : 36,000원(36페이지)
|
가격 :
할인가 : 6,500원(5페이지)
|
가격 :
할인가 : 15,400원(1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