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조오례의의 상징체계
1. ????국조오례의????에서 규정하고 있는 성복까지의 절차
1) 국휼고명(國恤顧命)
2) 초종(初終)
3) 복(服)
4) 역복불식(易服不食)
5) 계령(戒令)
6) 목욕(沐浴)
7) 습(襲)
8) 전(奠)
9) 위위곡(爲位哭)
10) 거림(擧臨)
11)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여 노인들에게 죽을 끓여드리는 풍습이 있었다.
또한 죽은 먹기에 편하여 상중喪中의 이웃이나 친척에게 죽을 쑤어 보내는 풍속이 있었는데,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서도 상중喪中에 슬픔에 지쳐서 밥을 먹을 수 없을 때에는 죽을 먹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서례「제복도설(祭服圖說)」에서 보면, 평천판은 앞이 둥글고 뒤는 네모났으며,겉은 현색증으로 덮고, 안은 훈색증으로 쌌다. 그리고 앞이 뒤보다 이촌(二寸) 숙었으며, 평안복(平天板)과 관신(冠身)을 옥형으로 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주단(朱緞)으로 만든다.
(13) 석( ) : 적단으로 만들며 황조(黃 )로서 연을 두르고 현색 끈을 맨다.
2) 통천관(通天冠)·강사포(絳紗袍)
고종어진 강사포본은 통천관을 쓰고 있다. 강사포의 구성은 「국조오례의서례」에 의하면 규·관·의·상·대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운 東國正韻〉·〈사성통고 四聲通攷〉 등 운서 편찬에 주도적으로 활약했다. 이후에도 국가의 기본질서를 적은 〈국조오례의〉를 교정·간행한 것을 비롯하여, 〈세조실록〉·〈예종실록〉·〈동국통감〉·〈국조보감〉·〈영모록 永募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