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연방에 12만 명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 중 1/2이상은 극동지역(특히 사할린주와 연해변강주)에 거주하고 있다. 북한 벌목공과 탈북자도 시베리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 동북 3성에 거주하는 한인동포(조선족: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론
한‧극동 지역간 교류의 부각
본론
1. 극동의 행정구역
2. 한‧극동 지역간 교류의 중요성
-지리적 측면에서 본 극동지역
-경제적 측면에서 본 극동지역
3. 경제 협력의 현황
결론
한‧극동 지역간 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russianreport/2000/07/26-190700.html(검색일: 2000. 7. 21).
http://www.rferl.org/russianreport/2000/08/28-090800.html(검색일: 2000. 8. 11). Ⅰ. 서론
Ⅱ. 러시아연방제의 형성과 불균등 연방주의의 문제점
Ⅲ. 구소련 및 러시아연방의 시베리아,러시아극동정책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력할 수도 있다.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남북 간에 부하특성의 차이와 전원구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전력교류를 도모하고, 러시아 동시베리아와 극동에서 발생하게 될 잉여전력을 북한, 한국으로 송전하는 전력교류 사업이 가능하다. 그러나 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9.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러시아 기초과학의 결합을 기반으로 하여 첨단 기술과 개방산업지역을 조성하려는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 러시아극동을 천연자원기지의 역할로 담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러시아극동이 동북아 지역에서 천연자원의 기지가 되기를 희망하는
러시아 기후, 인구 자연대, [러시아, 기원, 인구, 기후, 자연대, 예술, 대중교통, 루터교회, 문학가]러시아의 기원, 러시아의 인구, 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