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년 BAU대비 37% 감축하기로 했다. 이는 8억 5060만톤에서 5억 3588만톤으로 줄인 것과 같다. 한편 우리나라는 재생 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17년 3%에서 2030년 20%, 2040년 30~35%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발표했다.
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기후 재원이 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2.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후재원을 마련한다는 시나리오에 따를 경우, 2017년 현재 연간 300억불 규모의 기후변화 대응분야 ODA의 예산이 수년내에 1.5배 증가해야 2020년 이후 매해 1,000억불의 기후재원 확충이 가능할 것이다. DAC 회원국 국민의 관점에서 기후변화에 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1.09.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후 거버넌스의 진화
2. 파리 협정의 탄생 배경과 협상 동학
3. 협정의 구조적 특징과 혁신적 메커니즘
3.1 국가결정기여(NDC)의 상향식 접근
3.2 전 지구적 이행 점검(GST) 시스템
3.3 기후 재원 조달 체계의 개편
4. 교토체제와의 비교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5.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후변화 대응에 필요한 재원 조달
에너지 정책
원자력 발전의 비중 높임
대중교통 이용 장려
대중교통 수단의 다양화와 연계성 강화
버스전용차로 확대
경차 이용 확대
경차 유류세 환급제도
경차기준 1000cc 이하로 확대
자전거 이용량 확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9.05.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후변화협약(UNFCCC) 제16차 당사국 총회(COP)에서 이 기금의 설립이 승인됐다. 당시 총회에서 선진국은 2010∼2012년 300억달러의 긴급재원(fast-start finance)을 지원하고, 2020년까지 연간 1천억달러의 장기재원(long term finance)을 조성하는 데 합의했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