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진과 화영이 방송국 앞에서 재회 하게 될 때 화영은 동진을 못 알아봤지만 동진은 화영을 한눈에 알아봤습니다. 그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요? 그리고 그 방송국 앞에서의 촬영은 실제 이산가족 찾는 화면들도 있는 것 같아 보였습니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2.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길소뜸>
1981 <만다라>
1973 <잡초>
1961 <두만강아 잘 있거라>
60년대에는 평범한 감독이었으나 <잡초>와 <짝코> 같은 작품을 거치면서, 상업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명실공히 한국을 대표하는 감독으로 자리잡았다.
자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3.06.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길소뜸]
1986년 [티켓] [씨받이]
1987년 [연산일기]
1988년 [아다다]
1989년 [아제아제 바라아제]
1990년 [장군의 아들]
1991년 [개벽] [장군의 아들2]
1992년 [장군의 아들 3]
1993년 [서편제]
1994년 [태백산맥]
1996년 [축제]
1997년 [노는 계집 창]
1999년 [춘향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07.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길소뜸, 만다라, 아다다, 서편제, 춘향전 그리고 취화선까지 그야말로 민족적인 색채가 물신 나는 작품들을 만들어왔습니다. 임권택 감독은 한국적 영화가 세계적인 것이라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습니다. 그것을 우리는 당연한 것으로 여겼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7.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길소뜸)
1986년 시카고영화제 세계평화메달상수상
1987년 베니스영화제 여우주연상(강수연) 수상(씨받이)
1988년 몬트리올영화제 여우주연상(신혜수) 수상(아다다)
1989년 모스크바영화제 여우주연상(강수연) 수상(아제아제 바라아제)
1989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