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 전력경제 발전과 에너지 공급을 위한 평화망 사업제안
4.1 [1단계]:남북한 전력계통의 연계
4.2 [2단계]:FER과 NEC, SKOR의 전력계통연계
4.3 [3단계]:FER과 NEC, SKOR, JAPA 네트워크구성
4.4 평화망 사업에 따른 기대효과
5. 결 론
참고 문헌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8.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한 에너지통합
남한은 에너지 수입이 무려 2백 40억 달러에 이르러 무역적자의 가장 큰 요인이 되고 있으며, 국제에너지 시장의 동향에 따라 국기가 흔들릴 정도로 에너지 분야에서는 독립적이지 못하다. 반면 북한은 비록 석탄자원 하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너지협력 활성화 전략연구』, 통일연구원.
손기웅, 1996, 『남북한 환경분야 교류협력 방안 연구』, 민족통일연구원.
정회성, 1995, 『북한의 환경문제와 남북환경협력의 추진방안』, 한국환경기술개발원.
환경부, 2001, 『2000년도 정보화근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정책방향과 발전전략, 도서출판바로
9. 박광수 외. 중기 수요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10. 세계일보, 2005년 06월 26일
11. 김현진, 신 에너지 위기요인과 동북아 에너지 협력, 삼성경제연구소
12. 통계로 본 남북한의 모습,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400원
- 등록일 2015.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한 에너지 분야의 교류협력
에너지는 경제발전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바, 북한은 에너지난으로 인해 경제회생에 큰 지장을 받고 있다. 1999년 현재 북한의 발전시설용량은 739만kw로 남한의 4,698kw에 비하여 1/6수준이며 그 중 실제가동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