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기연맹 부인부가 중심사업으로 추진한 조선인의 ‘생활개선운동’에서도 조선인 여성지도자들에 의해 그 구체적인 개선의 지점이 포착될 수 있었다. 쯔다 세쯔코에 의해 주도된 婦人問題硏究會의 활동은, 손정규, 조기홍, 임숙재 등 조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교 등과 더불어 배격의 대상으로 거론하기에 이른다.
또 한 가지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내선일체가 실현되는 공간’으로서의 녹기연맹이다. 녹기연맹은 조선사회에서 내선일체를 구현하기 위한 실천을 할 뿐만 아니라, 조직 내에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녹기연맹에서 주장하는 내세일체란 “사실상 언제까지고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는 일제의 일방적인 판단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성질의 것”으로서 그 기준은 식민지조선인의 國體=皇道의 내면화 정도에 달려있는 “무한한 충성의 논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녹기연맹 : 녹기연맹의 전신은 1930년에 경성천업청년단과 묘관동인회를 통합하여 1930년에 결성된 녹기동인회(綠旗同人會)임. 내선일체의 이념과 실천이 조직의 중심 목표가 되면서 정치적 색채가 크게 강화됨. 주요 활동은 출판 및 강연을 통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8.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글은 총 31편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정혜경ㆍ이승엽, 「일제하 녹기연맹의 활동」, 한국근현대사연구회 발표문, 1998) 이 수치는 '조선어전폐론'으로 유명한 친일파 현영섭(玄永燮)에 이어 두번째로, 당시 그는 주로 문화론ㆍ문예 관련 글을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8.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