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여 장력손실이 없는데 비해 전열계수가 크므로 전열 면적에 비해 소형의 열교환기가 얻어진다. 보통 용접구조 이므로 청소,보수가 어렵다. 장력은 보통 10kg/cm 까지 사용된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4.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관원통형 열교환기
○ 2개의 관판을 가지는 열교환기 안에 한쪽의 관판은 칸막이실측에 볼트로 고정하고, 다른 쪽의 관판은 자유롭게 전열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 전열관은 고정 관판 및 유동 관판에 확관 또
|
- 페이지 8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관원통형 교환기 블록을 이용하여 하나의 열교환기만으로 원하는 열전달을 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아라. 가스 스트 림은 15kPa의 압력손실로 통쪽을 통과해야 하며 액체 스트림은 50kPa의 압력 손실로 관을 통과한다.
① 먼저 문제에 나와있는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관원통형 열교환기 중 가장 간단한 구조로 저렴하다.
② 유동두 형(Floating Head Type) 열교환기
- Tube Bundle의 한 쪽 Tube sheet(Stationary Head)는 Shell의 한쪽에 고정시키고 다른 쪽 Tube sheet는 Shell에 아무런 구속을 받지 않는 구조이다.
- 유체의 온도에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6.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환기
단순 이중관 교환기는 몇 개의 관으로 쉽게 처리할 수 없는 유량에는 부적합하다. 여러 개의 이중관을 병행하여 사용한다면 외관에 필요한 재질의 무게가 너무 커지기 때문에 동체가 여러 관에 기여할 수 있는 다관 원통형 구조가 더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