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기덩이의 열을 빼앗아가므로 하강하는 공기덩어리는 더욱 강렬하게 하강한다. 이는 지표에 도달하여 사방으로 흩어진다. 이 과정에서 강한 돌풍이 불게 된다.
5. 상층저기압과 돌풍
상층에 있는 공기는 꽤 차가운 편이다. 거시적으로 볼 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6.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저기압이 북상하여 우리나라를 통과할 때 강풍이 많이 나타난다. 또한 봄과 가을철에는 북서쪽에서 상층의 찬 공기가 빠르게 남하할 때 대기가 불안정해져 돌풍이 부는 경우도 많으나 겨울철에 비해 지속 시간이 짧은 편이다. 1. 바람과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6.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저기압 후면의 찬 대륙성고기압이 강하여 전선이 발달할 때 생기므로 많은 눈이 올 가능성이 있다.
서풍이 종일 불면 눈이 온다. 겨울철 찬 대륙성고기압 확장시 대륙으로부터 강한 서풍이 불 때 서해안 지방에서는 눈이 많이 올 때가 많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진>
명칭
사진
상층운
권운
2009.05.22 AM11:43
제 1과학교육관 앞
권층운
권적운
중층운
고적운
2009.05.27 PM 06:18
후문 앞
고층운
2009.05.28 PM 05:56 기숙사건물에서
난층운
하층운
층적운
층운
적운
2009.05.22 AM11:46
제 1과학교육관앞
적란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저기압 사례와 마찬가지로 온난전선 역에서 강수의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유형의 저기압은 우리나라의 봄철에 자주 발생하는 저기압 유형이다.
셋째로, 경압적 대기에서 상층골이 지상골보다 약 파장 뒤처진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 경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