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213건

동방결절→심방→방실→결절→방실속→푸르키네섬유→심실의 순서이며 정상 경로이다. 이 경로로 흥분이 전도되는 특성을 전도성이라 하며, 정방향성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특히 이른다. ④ 수축성 골격근과 마찬가지로 흥분시 수축이 일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지로 나누어져 있다. 수축이 연속적으로 일어날 경우 충격은 동방결절로부터 방실결절까지 비교적 천천히 전도되며, 방실결절은 심실에 충격이 전달되기 전 0.1초의 전도 지체가 있다. 충격은 동방결절까지 심방을 통하여 전달되며, 심방의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원
  • 등록일 2007.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결절이 있다. 현미경적으로 심내막 바로 밑에 있으며 섬유성 골격조직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His 섬유속은 방실결절에서 Koch 삼각의 앞쪽 꼭지점 부위에서 관찰되는데 이는 막성 중격의 뒤에 해당한다. 막성중격과 심실중격의 심근이 만나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방실결절 방실접합부(junction)로도 불리며 심방중격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방실결절은 이차적 심박조절자가 될 수도 있으나 정상적으로 동방결절의 전기 충격을 받아들이며, 이 방실결절은 심방에서 심실로 충격을 전도하는 유일한 경로이다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동방결절과 방실결절의 전도와 심실 흥분성 감소 - 협심증 - 심실조기수축 - 심방, 심실성 빈맥 - 심근경색 - 울혈성 심부전이나 쇼크, 환자의 방실 및 속지 블록 - 기관지 경련 - 당뇨병 - 경구투여 - 정맥주사 - 서맥 - 저혈압 - 급성심부전 Isoprot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7.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