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료에 집중해왔던 제일모직·LG화학과 패키징용 EMC 공급에 주력해온 금강고려화학(KCC)은 디스플레이 재료 시장의 성장세에 맞춰 디스플레이용 재료 개발 및 사업추진에 역점을 두기로 했다. LG화학은 유기절연막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제일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4.08.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발
2. 청색 LED 국내 생산 본격화
3. 삼성종기원, 국내 최초 고휘도 녹색 LED 개발
Ⅵ.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1. OLED의 특징
2. OLED 구분
1) 구동하는 방식에 따른 구분
2) TFT 기판의 종류에 따른 구분
3) 유기물층의 발광재료에 따라 나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발된 TPD의 경우, 이온화 에너지가 5.4 eV에 불과하고 증착된 박막의 정공 이동도가 10-3cm2/V로 높아서 정공 전달 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대개는 유기 EL용으로 별도의 저분자 정공 전달 재료가 개발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물리적 강도가 우수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발 현황, 조명전기설비, 제19권, 제1호, 2005.
배우진, 백색 유기발광소자(WOLED)와 최근 개발동향, 월간 전자부품, 2006.
윤종태 편저, 인쇄과학개론, 부경대학교, 1996.
이창희,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기술현황, 재료마당, 2007.
추혜용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식이 우선적으로 개발될 것으로 보이며, 세계 여러 나라에서 향후 10년 이내 실용화를 목표로 많은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
- 국내에서도 향후 디지털 홀로그래피 기반 3DTV를 구현하기 위한 로드맵을 세우고, 연구 개발이 진행 중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