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동을 주로 배꼽 위쪽으로 느끼면 정상위(두정위), 치골 가까운 곳에서 느끼면 둔위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둔위태위라고 진단되어도 임신 30주 정도까지는 태아의 약 1/5가 둔위태위이고 이 무렵을 전후로 해서 자연스럽게 정상위가 되며, 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위 또는 분만동안 산도를 통해 선두가 되는 부분
- 두위(95%), 둔위(3%), 견갑위(1%)
- 결정 요인: 태아의 태세, 태위, 아두의 굴곡과 신전
- 종류
① 두위: 두정위, 안면위, 전정위, 전액위
② 둔위, 골반위: 순골반위, 완전 골반위, 불완전골반위, 양
|
- 페이지 6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위등과 관련된다
(두정위, 둔위, 횡위)
*태세(fetal attitude) : 자궁강 내에서의 태아 각 부분의
상호관계를 말한다
*태위(fetal lie): 태아의 장축과 모체의 장축과의 관계를
말하며 종위와 횡위로 나뉜다. 종위는 선진부에 따라
|
- 페이지 48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3.05.2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위험 증가)
⑤ 태아건강사정
태아심박동, 양수 내 태변 착색 여부, 태동 등 검사
태아의 생리적 서맥: 자궁수축 시 태아의 심박수 저하→30초 내에 회복 시 정상
태아심음 청진부위
두정위 : 제대 아래 ex) ROA 태향에서는 우하복부에서 잘 들림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8.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위에 따른 색변화로 눌린쪽은 붉고, 안 눌린쪽 창백하다. 이것은 일시적이며 정상적인 것이다.
4) 머리와 얼굴
(1) 산류(caput succedaneum) : 두정위 분만시 압력으로 인해 두개 선진부의 연조직에 부종이 나타나며 자연소실된다. 출생직후 나타나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5.10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