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 태동을 주로 배꼽 위쪽으로 느끼면 정상위(두정위), 치골 가까운 곳에서 느끼면 둔위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둔위태위라고 진단되어도 임신 30주 정도까지는 태아의 약 1/5가 둔위태위이고 이 무렵을 전후로 해서 자연스럽게 정상위가 되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위 또는 분만동안 산도를 통해 선두가 되는 부분
- 두위(95%), 둔위(3%), 견갑위(1%)
- 결정 요인: 태아의 태세, 태위, 아두의 굴곡과 신전
- 종류
① 두위: 두정위, 안면위, 전정위, 전액위
② 둔위, 골반위: 순골반위, 완전 골반위, 불완전골반위, 양
|
- 페이지 6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야 함
두정위와 둔위의 경우 태아의 등을 통하여 태아심박동률을 가장 잘 청취할 수 있으며,
PMI는 태아 선진부와 태위를 파악하는데 도움
PMI는 두정위시에는 산부의 배꼽아래, 즉 사분위 중 왼쪽이나 오른쪽 아래부분이고, 둔
위에서는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위등과 관련된다
(두정위, 둔위, 횡위)
*태세(fetal attitude) : 자궁강 내에서의 태아 각 부분의
상호관계를 말한다
*태위(fetal lie): 태아의 장축과 모체의 장축과의 관계를
말하며 종위와 횡위로 나뉜다. 종위는 선진부에 따라
|
- 페이지 48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3.05.2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위를 만지고 다른 한 손은 골반강을 향해 그대로 평이하게 내려감
*태아 머리의 돌출부가 odk의 등과 같은 쪽에 있으면 태아 머리가 신전된 안면위이다. 돌출부가 태아의 등과 서로 반대로 위치하면 태아 머리가 굴곡된 두정위이다.
3. 태아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2.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