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온식이라고 부른다. 가장 단순한 종류의 흡착 등온식을 얻으려면 우선 모든 흡착 자리가 동등하고 또 이 자리에 흡착될 분자는 이웃자리가 이미 차지되었건 비어있건 전혀 그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이때는 A(g)+M(surface)=AM의 동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3.09.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적정을 할 때 처음에는 피펫으로 부피 측정을 하다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릴뿐더러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깨닫고 뷰렛으로 측정했는데, 용액이 붉게 변할 때 정확한 부피를 쟀어야 하는데 붉게 변하고 나서 몇 ml를 더 넣어버리고 만 실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0.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적정할 때의 오류이다.
먼저 표준용액으로 쓰인 NaOH 가 조해성과 흡습성이 있어서 정확한 표준용액이 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0.1N NaOH로 적정할 때, 시료의 색깔이 엷을 자주색일 때가 ‘평형’의 순간인데 그 순간을 포착하기가 어려웠다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3.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등온흡착식과 최소 자승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값을 구할 수 있음을 깨닫고 나니 간단한 실험으로 보이더라도 그 실험에서 나온 간단한 data로 인해 많은 이론적인 수들을 구할 수 있다는 점에 놀라웠다.
6. References
1) http://www.bscarbon.com/pro_5_4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등온흡착식에 의한 결과의 분석
시료
번호
x(g)
x/M(g/g)
logCe
log(x/M)
1
2
3
4
(1) 회귀분석 결과
Constant
-1.19949
Std Err of Y Est
0.037497
R Squared
0.983652
No. of Observations
4
Degrees of Freedom
2
X Coefficient(s)
0.516171
Std Err of Coef.
0.047053
(2) 선형화 그래프
(3) 흡착평형상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