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개발 정책의 미래」 (서울: 세종연구소, 2002년).
한종만,“ 한반도 통합과정에서의 시베리아 및 극동의 중요성” 「한국의시베리아학보」 (한국시베리아학회) 제2집, 2000년, pp. 171~186.
한종만, “한러시아 경제협력의 현황과 과제- 구상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제요인에 더 크게 의존하는 그런 지역이다.
그것은 다음 사실들로 설명되어질 수 있다.
1. 극동은 러시아의 경제 중심지와 떨어져있고 지리적으로 태평양연안 국가들에 인접해있다.
2. 극동의 경제는 과학 기술적인 협력관계를 통해서라기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러시아 3국의 협력을 제의했다.
Ⅴ. 러시아경제의 다자간 경제협력
1. 다자간 경제협력의 가능성
러시아는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아태 지역의 일원이 되길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동북아지역국가와의 협력을 통해 낙후된 러시아 극동지역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러 경제교류 10년의 평가와 러시아 경제의 미래” (2000)
홍성원, “러시아 극동의 발전 가능성과 동북아지역국가와의 경제협력” 한국슬라브학회(2000)
서대숙, “한국과 러시아관계”(2000)
www.kinds.or.k
www.buyrussia21.co.kr 서론
한‧극동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러관계, 1998
◈ 윤찬혁, 러시아연방의 외국인 투자관련 제도, 대외정책연구원, 1992
◈ 이재영, 한국기업의 대러시아 현지경영 현황과 과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
◈ 이재영, 파벨 미나키르 외 3명, 한 러 극동지역 경제협력 20년, 대외경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