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복하여 가해보면 불응기는 자극의 강도에 따라 짧아진다. 그러나 최초의 활동전위가 일어나기 시작하면서 약 1mm/sec 동안에는 강한 자극을 가하더라도 다음의 활동전위가 일어나는 일은 없다.
이 기간을 절대불응기라고 하며 이에 이어 불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원
- 등록일 2007.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활동전압이 발생된 바로 옆 안정부분의 막 전압에 영향을 미쳐서 이곳도 탈분극 시키고 같은 방식으로 다음 부분도 Na+에 대한 문을 열어주어 활동전압을 유발 한다
*활동전위: 자극
신경섬유와 근섬유는 막전위를 가지고 있고 활동전위라는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8.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에 의한 막투과성 변화로 Na+ 유입, K+ 유출에 의해 국소적 탈분극 발생
역치전압이 2차 EPSP의 가중에 의해 -55mV가 되면 활동전압 유발
(2)억제성 연접후 전압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IPSP
신경원 막전위가 과분극
연접이후막의 투과성 증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에 의한 막투과성 변화로 Na+ 유입, K+ 유출에 의해
국소적 탈분극 발생
⇒ 역치전압이 2차 EPSP의 가중에 의해 -55mV가 되면 활동전압 유발
2)억제성 연접후 전압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IPSP
①신경원 막전위가 과분극
②연접이후막의 투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0.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탈분극이 다른 부분의 전압개폐 나트륨 이온 통로를 열리도록 유도하고, 이것은 또 다른 부분의 통로를 열리도록 하기 때문에 활동전위라 불리는 막전위의 일시적인 변화의 흐음은 신경세포의 길이를 따라 전해진다. 이 활동 전위는 한쪽 방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