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
-냄새: 무취
-맛: 무미
-색도: 5도이하
-탁도: 2도이하
-수소 이온 농도: PH5.8~8.5
-동: 1mg/l이하
-세제: 0.5mg/l이하
-아연: 1mg/l이하
-염소 이온: 150mg/l이하
-증발 잔유물: 500mg/l이하
-철: 0.3mg/l이하
-망간: 0.3mg/l이하
-황산이온: 200mg/l이하
-알루미늄: 0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1.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정에 더 적합하기 때문에 수질 기준 지표의 적합성 여부가 계속해서 화두에 오르고 있다. 약수터를 비롯한 공동시설에서 제공되는 먹는 물의 경우 여시니아균이 불검출/2L가 기준이다. 이 여시니아균은 야생 동물의 배설물에 의해 오염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8.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먹는 물의 미생물 수질기준은 현재 우리나라가 일반세균 100/㎖, 대장균군은 50㎖ 중 불검출이다. WHO에서는 먹는 물에서의 미생물 검출을 불검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다른 것도 아닌 먹는 물이기 때문에 미생물의 검출을 불검출로 강화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물질에 관한 항목, 보건환경연구원, (부산광역시 먹는물조사팀, 2022)
[11] 음용수에서의 병원성 미생물과 소독부산물의 비교위해도 분석, 황만식, (연세대 보건학과, 2003)
[12] 제 1장 물의 순환과 인간, 수질관리, 권수열·김영 공저(한국방송통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3.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줄 수 있다. 우리나라의 먹는 물 수질기준에서는 트리클로로에틸렌의 농도를 0.03mg/L 이하로 규제하고 있다. 이 기준은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정된 것이다. 정수 처리 기술 중 활성탄 흡착 및 공기 스트리핑 공정은 트리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5.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